여천시 호명의 방재수림대 ( )

목차
관련 정보
여천 호명 방재수림대
여천 호명 방재수림대
식물
지명
국가유산
전라남도 여수시 호명동에 있는 방재림.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여수 호명동 방재림(麗川 虎鳴洞 防災林)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생물상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기념물(1997년 05월 15일 지정)
소재지
전남 여수시 호명6길 32, 외 52필지 (호명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호명동에 있는 방재림.
내용

1997년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방재림은 푸조나무 56그루, 팽나무 8그루, 느티나무 11그루, 개서나무 5그루, 참느릅나무 2그루, 말채나무 2그루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무의 나이는 최고 300년생으로 추정된다.

노거수가 있는 호명동은 해발고 412.6m에 이르는 뒷산 서쪽 기슭에 터를 잡고 있으며 북북동쪽 약 4㎞의 거리에는 바다가 인접해 있다. 이 마을은 임진왜란 때 이징(李澄)이 한양에서 피난와서 정착하면서 개척하였다고 하며, 그 뒤 1650년경에는 남양 홍씨가 들어왔다. 마을 인구는 약 500명을 넘고 농경을 하고 있다.

이곳 수목은 이 마을 앞을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흐르고 있는 좁다란 개울 양편에 줄로 심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이 호명마을과 그 서쪽의 양지마을 사이에 펼쳐져 있는 논을 바닷바람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심었던 것으로 보인다.

수림대는 개울과 도로 사이에 난 것이 또한 적지 않다. 나무의 높이는 8m∼15m 사이에 있고 가슴높이 줄기 둘레는 수종에 따라 다르나 가는 것은 60㎝, 굵은 것은 450㎝에 이르고 있다. 토양 등 입지조건은 좋은 편은 못된다. 푸조나무와 느티나무, 개서어나무의 줄기가 그 중 굵은 편이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호명마을의 형국이 호랑이 상이지만 꼬리가 없다하여 그 비보책으로 지금부터 400여 년 전 이곳에 나무를 심어 호랑이 꼬리를 만들었다고 한다. 이 수림대의 길이는 약 450m이다. 흔히 볼 수 없는 우리나라 낙엽활엽수종으로 된 수림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