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계경 ()

목차
고대사
제도
생몰년 미상. 고조선시대의 대신.
목차
정의
생몰년 미상. 고조선시대의 대신.
내용

고조선의 토착세력출신으로 중앙정부에 참여하여 조선상(朝鮮相)의 관직을 받았다.

위만(衛滿)의 손자인 우거왕(右渠王)이 한무제(漢武帝)의 침략을 받기 전에, 그는 왕에게 모종의 건의를 하였으나 건의가 무시되자, 자신의 족적집단(族的集團)인 2,000여호(戶)와 함께 진국(辰國)으로 망명해가서, 그 뒤 조선과의 관계를 끊었다.

참고문헌

『삼국지(三國志)』
「위만조선관계(衛滿朝鮮關係) 중국측사료(中國側史料)에 대한 재검토(再檢討)」(김한규, 『부산여자대학논문집(釜山女子大學論文集)』8, 1980)
「위씨조선흥망고(衛氏朝鮮興亡考)」(이병도, 『인문사회과학(人文社會科學)』4, 1956 ;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 1976)
집필자
김용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