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목차
관련 정보
연감
연감
출판
개념
1년 동안에 일어났던 일이나 통계자료를 요약 · 정리하여 1년에 한 번씩 발행하는 정기간행물을 지칭하는 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년 동안에 일어났던 일이나 통계자료를 요약 · 정리하여 1년에 한 번씩 발행하는 정기간행물을 지칭하는 용어.
내용

연감은 정기간행물의 하나라는 점이 중요하다. 이것은 자료집의 기능을 하게끔 하는 데서 발생하였다. 역사적으로 볼 때 ‘연감’이라고 이름을 붙인 최초의 것으로는 영국의 『법률연감(The Legal Year Book)』을 효시로 꼽는다. 이 연감은 1292년부터 1534년까지의 사건(판례)을 수록한 것이다.

그러나 역사가 가장 오랜 연감은 1759년에 영국에서 발행되기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간행되고 있는 『애뉴얼 레지스터(Annual Register)』를 꼽고 있다. 연감의 종류는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다양하다.

우리나라에서 발행되고 있는 『동아연감(東亞年鑑)』과 같이 1년 동안 우리나라와 세계에서 일어난 여러 일들과 통계자료를 한데 묶어 편찬하는 일반연감이 있는가 하면, 『문예연감』 · 『출판연감』 · 『신문방송연감』 · 『한국경제연감』과 같이 전문 분야의 사건과 통계만을 편찬하는 연감과 각 행정단위인 군(郡)이 발행하는 행정연감도 있으며, 연예계의 사건이나 인물만 다룬 연예연감도 발행된 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명한 『후즈후(Who’s Who)』와 같은 전기적 연감도 있고, 학술논문의 색인만 싣는 색인연감도 있으며, 족보를 다루는 족보연감도 있다. 1년 동안 세계 각국의 각종 통계자료를 모아 편찬하고 있는 『유엔통계연감』은 세계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연감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연감은 주로 신문사통신사에서 발행하고 있으며 각종 이익단체나 행정부서 등에서는 그 분야의 전문연감이 발행되고 있다. 일반연감의 경우 외국의 일반연감과 다른 점은 매년 부록을 한두가지씩 같이 간행하고 있는 점인데, 이들 부록은 인명사전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밖에 어떤 특정주제나 항목과 관련된 자료를 따로 모아 정리한 것들이다.

이와 같은 연감부록 발행의 관행은 독자들에게 특정자료에 대한 이용의 편이를 도모하여 주고자 하는 배려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우리나라 연감발행의 경향을 보면 일반연감보다 특정 분야의 연감들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앞으로 더욱 증대될 전망이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유재천(서강대학교, 언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