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경궁 ()

고려시대사
유적
고려시대에 이궁과 별궁으로 사용한 개성 송악산 부근에 있었던 궁궐.
이칭
이칭
인덕궁(仁德宮)
속칭
만월대(滿月臺)
유적
건립 시기
고려 전기
관련 국가
고려
관련 인물
인종, 충선왕
소재지
개성특별시
내용 요약

연경궁은 고려시대에 이궁과 별궁으로 사용한 개성 송악산 부근에 있었던 궁궐이다. 고려시대 수창궁과 더불어 대표적인 이궁으로 본궐 동쪽에 있었다. 1022년(현종 13) 연경궁주 김씨를 왕비로 책봉한 데에서 처음 나온다. 이자겸의 난(1126년, 인종 4) 때 불탔으며, 1127년(인종 5)에 인덕궁으로 고쳤다. 1309년(충선왕 1) 충선왕이 연경궁을 중수하여 자신의 궁으로 만든 이후 1313년(충숙왕 즉위년) 충숙왕은 이곳에서 즉위하였다.

정의
고려시대에 이궁과 별궁으로 사용한 개성 송악산 부근에 있었던 궁궐.
건립 경위

고려시대 개경의 본궐(本闕)과는 별도로 이궁(離宮)이자 별궁(別宮)을 짓기 위해 고려 전기에 연경궁(延慶宮)을 건립하였다. 문종 때 사(使) 1명, 부사(副使) 1명, 녹사(錄事) 2명을 두고 연경궁의 관리를 맡도록 하였다.

변천

고려시대 수창궁(壽昌宮)과 더불어 대표적인 이궁 · 별궁으로, 본궐 동쪽에 있었다. 1022년(현종 13) 연경궁주(延慶宮主) 김씨(金氏)를 왕비로 책봉한 데에서 처음 나오며, 인종(仁宗, 1109~1146)이 자주 거처로 이용하였다. 이자겸(李資謙)의 난이 있었던 1126년(인종 4)에 불탔으며, 1127년(인종 5) 인덕궁(仁德宮)으로 이름이 바뀌기도 했지만, 1137년 무렵부터 다시 연경궁으로 불렸다. 13세기 몽골의 침입 때에도 소실되었다.

연경궁이 본격적으로 활용된 것은 충선왕(忠宣王, 1275~1325) 이후이다. 1309년(충선왕 1) 충선왕이 연경궁을 중수하여 자신의 궁으로 만든 이후 1313년(충선왕 5)에 주1라는 관부를 설치하여 연경궁을 관리하게 하였다. 1313년(충숙왕 즉위년) 충숙왕(忠肅王, 1294~1339)은 이곳에서 즉위했으며, 당시 상왕인 충선왕은 연경궁에서 2일간 승려 2,000명에게 주2을 베풀고 등(燈) 2,000개를 켰다.

공민왕(恭愍王, 1330~1374) 전기까지 궁궐의 운영은 본궐의 주3과 이궁인 연경궁을 축으로 운영되었다. 고려 말 주4의 제2차 침입 때인 1361년(공민왕 10)에 파괴된 이후로 복구되지 못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을 흔히 만월대(滿月臺)로 불렸다. 조선 전기에 편찬된 지리지(地理志)에서는 연경궁을 고려의 본궐로 잘못 인식하고 기록하였다. 『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이래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까지 연경궁은 고려 본궐과 동일하게 사용되었으며, 정전은 건덕전(乾德殿)이라고 서술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충선왕 대 이후 연경궁이 활발하게 활용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연경궁이 본궐 동쪽 가까이에 있었던 것도 연경궁을 본궐로 오인한 이유의 하나였다.

형태와 특징

고려 전기 연경궁의 규모를 전하는 자료가 없어서 궁의 형태나 크기 등을 알 수 없다. 하지만 고려 후기인 1309년 3월에 검교중호(檢校中護) 배정(裴挺)의 주도 하에 연경궁의 전각과 회랑이 총 410개의 기둥을 갖춘 규모로 설계되었던 것을 통해서 연경궁의 규모를 대략 짐작할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고려시대 이궁이었던 연경궁은 이자겸의 난, 몽골 침입 등으로 불탔지만 다시 중건되었고, 홍건적의 제2차 침입 이전까지 오랜 기간 동안 개경의 본궐과 더불어 고려의 대표적인 궁궐로서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창현, 『고려 개경의 구조와 그 이념』(신서원, 2002)

논문

홍영의, 「고려시기 개경의 궁궐 조영과 운영」(『한국중세사연구』 28, 한국중세사학회, 2010)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궁궐 안에서 전명(傳命)과 잡역을 맡아 하던 관아. 문종 이래 벼슬아치는 사(使) 1명, 부사(副使) 1명, 녹사(錄使) 2명 등을 두었으나, 뒤에 제거사로 고치면서 벼슬아치의 수와 명칭도 고쳤다.    우리말샘

주2

고려 시대에, 왕실에서 큰 법회를 열고 승려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던 일.    우리말샘

주3

고려 시대 개경의 궁궐 안에 있던 정전(正殿). 인종 16년(1138)에 중광전(重光殿)을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4

중국 원나라 말기에, 허베이(河北)에서 한산동(韓山童)을 두목으로 하던 도둑의 무리. 머리에 붉은 수건을 쓴 까닭에 이렇게 이르며, 두 차례에 걸쳐 고려에까지 침범하였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