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인전 ()

고려시대사
유적
고려시대 별궁인 수창궁 내에 있었던 전각.
유적/건물
건축 양식
전각
건립 시기
고려 전기
소재지
개성특별시 서소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명인전(明仁殿)은 고려시대 별궁인 수창궁 내에 있었던 전각이다. 1132년(인종 10) 인종이 이곳에서 이자겸의 난 사후 처리에 제서를 내렸으며, 1151년(의종 5) 의종은 이곳에서 조회를 보았다. 고려 인종 대 이후 조회, 인왕도량 등 불교 행사, 초제 설행, 어진 봉안 등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정의
고려시대 별궁인 수창궁 내에 있었던 전각.
건립경위

고려시대 별궁(別宮)의 하나인 수창궁(壽昌宮) 내에 여러 전각을 조성하면서 명인전도 건립되었다.

변천

수창궁 내에 있었던 전각들 중 하나이다. 1132년(인종 10) 인종(仁宗)이 이곳에서 이자겸(李資謙)의 난 사후 처리에 관한 제서(制書)를 내렸으며, 1134년(인종 12) 인종이 이곳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 김부의(金富儀)로부터 『 서경(書經)』 「열명(說命)」편에 대한 강론을 들었다. 1151년(의종 5) 의종(毅宗)은 간관(諫官)의 간쟁을 무마시키고자 이곳에서 매일 조회(朝會)를 보기도 하였다.

고려 인종 대 이후 국왕이 보살계(菩薩戒)를 받는다든가 인왕도량(仁王道場) 등 도량(道場)을 개설하는 등의 불교적 행사 및 태일신(太一神)에 대한 초제(醮祭)가 이곳에서 자주 열렸다. 충선왕(忠宣王) 초에는 한때 충렬왕(忠烈王)의 어진(御眞)을 봉안한 혼전(魂殿)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의의 및 평가

고려의 정궁인 연경궁(延慶宮)이 이자겸의 난으로 불에 탄 이후 정궁을 대신해 왔던 별궁인 수창궁 내에 있던 전각으로서, 조회, 불교 행사, 초제 설행, 어진 봉안 등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창현, 『고려 개경의 구조와 그 이념』(신서원, 2002)

논문

홍영의, 「고려시기 개경의 궁궐 조영과 운영」(『한국중세사연구』 28, 한국중세사학회, 201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