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전 ()

고려시대사
유적
개성특별시 만월동 송악산에 있었던 고려시대 정궁인 연경궁 안에 있는 전각.
이칭
이칭
건덕전(乾德殿)
유적/건물
건축 양식
전각
건립 시기
고려 전기
규모
5칸
소재지
개성특별시 만월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관전(大觀殿)은 개성특별시 만월동 송악산에 있었던 고려시대 정궁인 연경궁 안에 있는 전각이다. 고려 개경 본궐인 연경궁의 정전 중 하나이다. 1138년(인종 16) 본궐에 있는 전각의 명칭을 고칠 때 건덕전에서 대관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건덕전은 고려 전기부터 있었던 천덕전과 같은 전각으로 추정된다. 몽골과의 전쟁 이후에는 1339년(충숙왕 복위 8) 6월에 대관전 은행나무가 저절로 넘어졌다는 기록밖에 확인되지 않는다.

정의
개성특별시 만월동 송악산에 있었던 고려시대 정궁인 연경궁 안에 있는 전각.
건립경위

고려 개경 본궐인 연경궁(延慶宮)의 정전(正殿)으로 사용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변천

고려 개경 본궐의 정전 중 하나이다. 1138년(인종 16) 본궐에 있는 전각의 명칭을 고칠 때 건덕전(乾德殿)에서 대관전(大觀殿)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건덕전은 고려 전기부터 있었던 천덕전(天德殿)과 같은 전각으로 추정된다. 의종 때 편찬된 『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을 바탕으로 한 『 고려사(高麗史)』 예지(禮志)의 기록들이 대관전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 것에서 고려 중기 대관전의 위상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몽골과의 전쟁 이후에는 1339년(충숙왕 복위 8) 6월에 대관전 은행나무가 저절로 넘어졌다는 기록밖에 확인되지 않는다. 이를 통하여 강도(江都)에서 개경으로 환도(還都)한 이후에 대관전은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훼손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궁궐터 회경전 서쪽편의 서부건축군을 태조 때 초창한 궁궐 영역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 일대에 대관전이 자리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형태와 특징

대관전 건물의 크기는 5칸이었다고 하며, 이 건물의 정문이 승평문(昇平門)이다.

의의 및 평가

고려시대 연경궁의 정전으로서 조회(朝會)를 비롯하여 국왕의 즉위식, 고위 관리 임명식, 외국 사신의 영접, 백관(百官)에 대한 향연, 삼군(三軍) 편제에 의한 출정군의 전송 의식, 국왕이 친림(親臨)하였던 복시(覆試) 시행, 각종 불교 행사 등이 바로 이곳에서 행하여졌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창현, 『고려 개경의 구조와 그 이념』(신서원, 2002)

논문

홍영의, 「고려시기 개경의 궁궐 조영과 운영」(『한국중세사연구』 28, 한국중세사학회, 201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