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창궁 ()

고려시대사
유적
고려시대 개경의 서소문 안에 있었던 궁궐.
이칭
이칭
수령궁(壽寧宮)
유적
건립 시기
고려 전기
관련 국가
고려
관련 인물
우왕
내용 요약

수창궁은 고려시대 개경의 서소문 안에 있었던 궁궐이다. 개경 중심인 십자가 서북쪽에 있었다. 고려 현종, 인종, 명종 등이 본궐을 중수할 때 이곳에 머물렀다. 강도에서 개경으로 돌아온 이후로는 한동안 사용된 사례가 잘 보이지 않아서 원종∼충렬왕 대 사이에 폐허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381년(우왕 7)∼1384년(우왕 10)에 중수하였고, 창왕 즉위 후 잠시 수령궁으로 개칭한 적이 있었다. 우왕 대 중수된 이후로 수창궁은 조선 초까지 주요 궁궐로 활용되었다.

정의
고려시대 개경의 서소문 안에 있었던 궁궐.
건립 경위

고려시대 이궁(離宮)인 연경궁(延慶宮)과는 별도로 또 다른 이궁이자 별궁(別宮)을 짓기 위해 고려 전기에 수창궁(壽昌宮)을 건립하였다.

변천

수창궁은 연경궁과 함께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궁궐로, 개경 중심인 서소문 안 십자가(十字街) 서북쪽에 있었다. 고려 현종, 인종, 명종 등이 본궐을 중수할 때 이곳에 머물렀다. 이른 시기부터 활발히 활용되었으나, 주1에서 개경으로 돌아온 이후로는 한동안 사용된 사례가 잘 보이지 않아서 원종∼충렬왕 대 사이에 폐허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297년(충렬왕 23) 충렬왕비 주2를 위하여 몽골식 천막인 궁려(穹廬)를 설치하려고 했다는 점과 1370년(공민왕 19) 공민왕이 수창궁의 옛터에 궁궐을 새로 지으려고 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수창궁은 1381년(우왕 7)∼1384년(우왕 10)에 중수하였고, 창왕 즉위 후 잠시 수령궁(壽寧宮)으로 개칭한 적이 있었다. 우왕 대 중수된 이후로 수창궁은 조선 초까지 주요 궁궐로 활용되어, 공양왕과 조선의 태조와 태종이 모두 이 궁에서 즉위하였다. 세종 대를 지나며 본래 모습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와 특징

거란의 침입을 피해 피난을 갔던 현종이 1011년(현종 2) 2월 수창궁으로 환궁하였고, 1147년(의종 1)에 의종이 수창군 북문을 봉쇄하여 주3의 출입을 엄금하였다. 1187년(명종 17) 1월에 주4에서 불이 번져 수창궁의 행랑 기둥 20여 개가 불타 버렸다.

1196년(명종 26) 4월에 수창궁 중서성문(中書省門)이 붕괴되었으며, 같은 해 8월에 명종이 수창궁을 떠나 연경궁으로 옮겼다. 1213년(강종 2) 8월에 강종이 수창궁 화평전(和平殿)에서 세상을 떠났다. 대몽 전쟁기인 1234년(고종 21) 11월에 고려 태조의 화상(畫像)을 수창궁에 봉안하였으며, 1250년(고종 37)~1251년(고종 38)에는 이곳에서 몽골 사신을 접대하기도 하였다.

원 간섭기인 1297년(충렬왕 23)에는 고려 세자〔훗날 충선왕〕가 주5 최충소(崔冲紹)에게 명해 수창궁 터에 충렬왕비 제국대장공주가 기거할 궁려를 짓도록 하였는데, 당시 공사 독촉이 너무 심해 많은 사상자가 나기도 하였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제2차 침입 때 연경궁이 불에 타 다시 수창궁으로 공민왕이 옮겨 갔다. 1370년(공민왕 19) 8월에 공민왕이 수창궁 터에 궁궐을 다시 지을 것을 명하였다. 1381년 3월 우왕이 다시 중수할 것을 명하여 1384년에 드디어 수창궁 중건이 완료되었다.

의의 및 평가

수창궁은 고려의 대표적 별궁으로서 연경궁을 대신한 적이 많았다. 원종~충렬왕 대 잠시 폐허가 되었지만, 우왕 대 중수되었으며 조선 초기까지 주요 궁궐로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창현, 『고려 개경의 구조와 그 이념』(신서원, 2002)

논문

홍영의, 「고려시기 개경의 궁궐 조영과 운영」(『한국중세사연구』 28, 한국중세사학회, 2010)
주석
주1

‘강화’의 다른 이름. 고려 고종 19년(1232)에 몽고의 침입으로 도읍을 이곳으로 옮긴 후, 원종 11년(1270)에 환도(還都)할 때까지 39년 동안 임시 수도로 삼았다 하여 생긴 이름이다.    우리말샘

주2

고려 충렬왕의 비(妃)(1259~1297). 이름은 홀도로게리미실(忽都魯揭里迷失). 중국 원나라 세조의 딸로 충렬왕이 세자로서 원나라에 체류할 때에 결혼하였으며 충선왕을 낳았다.    우리말샘

주3

소인(小人)들의 무리.    우리말샘

주4

고려 시대에, 왕명의 출납과 숙위(宿衛), 군기(軍機) 따위를 맡아보던 관아. 헌종 1년(1095)에 중추원을 고친 것으로 충렬왕 1년(1275)에 밀직사로 고쳤다가 공민왕 5년(1356)에 다시 이 이름으로 고쳤으며 공민왕 11년(1362)에 다시 밀직사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5

고려 시대에, 밀직사에 속한 종이품 벼슬.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