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거법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어떤 분류나 계통상 같거나 비슷한 맥락에 있는 것들을 늘어놓아 전체 내용을 표현하는 수사법. 나열법.
이칭
이칭
나열법(羅列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어떤 분류나 계통상 같거나 비슷한 맥락에 있는 것들을 늘어놓아 전체 내용을 표현하는 수사법. 나열법.
내용

어떤 분류나 계통상 같거나 비슷한 맥락에 있는 것들을 늘어놓는 표현법이다. 나열법(羅列法)이라고도 한다. 열거되는 말들은 의미상 연관성을 가져야 하며, 동일한 문장 성분으로 이어지는 것이 원칙이다.

“나는 산·강·바다·호수·들판 등 우리 국토의 모든 것을 사랑한다”의 예를 보면, 열거된 ‘산·강·바다·호수·들판’이 모두 의미상 연관성을 가지면서 동일한 문장 성분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우리 국토의 모든 것’을 구체적으로 알려 주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처럼 열거법의 본질적 기능은 표현하려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려 주는 데 있기 때문에 설명문이나 논설문에서 많이 쓰인다.

문학 작품에 쓰일 경우는 글에 형상성, 생동성을 부여하기도 하는데, 그 예로 “모든 수령 도망할제 거동보소. 인궤 잃고 과절 들고, 병수 잃고 송편 들고, 탕건 잃고 용수 쓰고, 갓 잃고 소반 쓰고, 칼집 쥐고 오줌뉘기……” 「춘향전」에서 수령들이 갈팡질팡 도망치는 장면을 형상적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들 수 있다.

또한 시가에서 열거법이 사용되면 율동적인 어조를 조성하여 문장에 힘찬 박력을 부여하기도 한다. 열거법은 의미상 연관만 있으면 뜻이 다른 말도 늘어 놓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뜻이 같거나 비슷한 말을 반복해야 하는 반복법과는 구별된다.

참고문헌

『새 글 짓는 법』(백두성, 형설사, 1995)
『문장강론(文章講論)』(정주환, 신아출판사, 1987)
『문장론입문』(황송문, 중원문화, 1984)
『조선어수사학』(김기종, 료녕인민출판사,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