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주 도봉리 유적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북한 평안북도 용천군 내중면에 있는 석기시대 토기편들이 출토된 유물산포지.
이칭
이칭
누에머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평안북도 용천군 내중면에 있는 석기시대 토기편들이 출토된 유물산포지.
내용

도봉리와 용북리 사이에 ‘누에머리’라고 불리는 해발 30m 정도의 낮은 야산이 있는데, 이 야산이 바로 유적으로서 동쪽과 남쪽 경사면에서 주로 토기편이 수집되고 있다.

채집된 토기편을 보면 황갈색을 띠고 있고, 아가리는 밖으로 바라지고 아가리 밑에 손톱문양이나 넓적한 꼬챙이로 꾹꾹 눌러 한바퀴 돌린 것도 있고, 덧무늬[貼附文]와 번개무늬[雷文]편들도 있다. 이로 보아 일대가 선사시대 유물포함층임을 알게 되었는데, 번개무늬토기가 주로 수습되는 층과 아가리가 밖으로 바라진 토기가 주로 수습되는 2개의 문화층으로 이루어진 복합유적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번개무늬토기는 함경도지방의 동해안 선사유적에서 많이 출토되고 있는데, 이곳 도봉리에서 수습된 번개무늬토기는 그 수법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동해안 번개무늬토기보다 평안북도지방의 번개무늬토기의 시기가 다소 늦은 시기일 것이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출토되는 유물을 통하여볼 때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에 걸친 유적으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평안북도 룡천군·명주군일대의 유적답사보고」(리병선, 『문화유산』1962년 1호, 과학원출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