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모재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영모재유고(권5) / 향약서 및 향약절목
영모재유고(권5) / 향약서 및 향약절목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도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도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2책. 목활자본. 1928년 후손 기환(基煥)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희구(尹希求)의 서문과 권말에 김병식(金秉植)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4는 시 276수, 권5는 서(序) 7편, 기 3편, 제문 2편, 통문(通文) 1편, 단자(單子) 1편, 권6은 부록으로 세계·연보·행장·묘갈명·묘지명 각 1편, 기(記) 3편, 시 32수, 만사 43편, 유사·발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가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억심상사제순(憶沈上舍悌淳)」·「억나우사희(憶羅友士希)」·「증유상사승(贈柳上舍乘)」 등의 오언절구와 「증김우정상(贈金友正相)」 등의 칠언절구는 대개 친구·친지들에게 지어준 인정시(人情詩)이다.

오언사율은 「영천도(詠天道)」·「영지리(詠地理)」·「영인사(詠人事)」·「영정심(詠正心)」 등 대부분 이학시(理學詩)로 되어 있으며, 칠언사율은 「도화(桃花)」·「장미(薔薇)」·「국화(菊花)」 등 영물(詠物)의 시가 많다.

서(序) 가운데 「향약서부향약절목(鄕約序附鄕約節目)」은 향약에 관한 절목·조직·운영·벌칙 등을 상세히 기술한 글이다. 절목은 선목(善目)과 악목(惡目)으로 구분하여 선목에 효(孝)·우애(友愛) 등 10개 항목, 악목에 도박(賭博)·호송(好訟)·조언(造言) 등 10개 항목을 열거하였다.

그 조직과 운영방법으로는 집강(執綱) 1명, 직월(直月) 1명, 각 마을에 이장(里長) 1명을 두고, 각 면(面)에 별독(別督) 1명씩을 두어 집강의 사환(使喚)으로 임명하며, 집강이 규약위반자를 관청에 보고하면 사류(士類)와 상인(常人)을 구분하여 상·중·하로 처벌하도록 되어 있다.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