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7m. 아래층 기단 갑석(甲石)은 윗면에 경사가 있고 추녀에 반전(反轉)이 있으며 상면 중앙에 높직한 굄이 있고 그 위에 상층기단(上層基壇) 중석이 놓여 있다.
상층기단 중석은 각 면을 1매 판석(板石)으로 짰고, 각 면에는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있고 탱주(撑柱 : 받침기둥) 1주로써 양분하였는데, 그 중 1매석은 떨어져서 내부의 적심석(積心石)을 제거하여 공간을 만들고 영천 화남리 석조여래좌상(보물, 1980년 지정) 1구를 봉안하였으며, 떨어진 면석은 지면에 뉘어놓았다.
갑석은 1매석인데 밑에 부연(副椽 : 탑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이 있고 상면에는 경미한 경사가 있으며, 네 모서리에 우동(隅棟 : 귀마루)이 있어 추녀 위에 이르러 약간의 반전이 있고 상면 중앙에 1단의 탑신굄이 있다. 탑신부(塔身部)는 옥신(屋身)과 옥개석(屋蓋石)이 각각 1석씩이고, 옥신석에는 각 층에 우주형이 모각(模刻)되어 있다.
옥개석은 두꺼운 편이고 처마 밑은 수평이며 추녀 위에 반전이 뚜렷하다. 밑의 받침수는 각 층 4단씩으로 줄었고 옥정(屋頂)에는 각형(角形) 1단의 옥신굄이 있으며, 상륜부(相輪部)는 모두 없어졌다. 하층기단의 상태가 분명하지 않지만 신라석탑의 전형양식을 충실히 계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