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집설대전구결 ()

목차
언어·문자
문헌
『예기집설대전』의 난상(欄上)에 『예기』 본문에 대한 구결을 한글로 달아 엮은 유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예기집설대전』의 난상(欄上)에 『예기』 본문에 대한 구결을 한글로 달아 엮은 유교서.
내용

현재 낙질로 전하는데, 서울대학교 도서관 가람문고 소장의 권13∼17, 1책은 지질 등으로 보아 15세기 후반의 간행으로 추정되고 딴 곳에 전하는 그밖의 책들도 16세기 중엽의 간행으로 생각된다.

구결이므로 방점의 표기가 없으나, ㅿ은 정확하게 사용되고 있다. 구결은 중세국어의 연구와 경서연구의 자료가 된다. 그런데 난상의 본문과 구결은 원책을 인쇄한 뒤에 따로 판각하여 인쇄한 것으로 보인다.

원책의 인면(印面)과 착묵이 다르고, 이따금 겹쳐져 인쇄된 부분도 있다. 서지학의 연구에도 귀중한 문헌이다.

참고문헌

「중세어(中世語)의 한글자료(資料)에 대한 종합적(綜合的)인 고찰(考察)」(안병희, 『규장각』3, 1979)
집필자
안병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