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백년기담 ()

구비문학
문헌
최상의가 180편의 단편 일화들을 수록하여 편찬한 야담집.
목차
정의
최상의가 180편의 단편 일화들을 수록하여 편찬한 야담집.
내용

1913년 개유문관(皆有文舘), 1916·1917년 광학서포(廣學書鋪), 1919년 신구서림(新舊書林), 1923년 박문서관(博文書舘)에서 간행되었다. 총 180편의 단편 일화들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시대순으로 되어 있으며, 조선 태조로부터 12대 숙종조에 걸친 역사적 인물들의 단편적 전기가 담겨져 있다. 각 이야기의 제목은 2자 내지 8자의 한문으로 되어 있으며, 본문은 국한문 혼용으로 쓰여져 있다.

첫머리에는 고려말 면화를 전래하고 ‘물래’를 고안했다는 문익점(文益漸) 및 그 손자 문래(文萊)의 이야기로부터 시작되어 무학해몽(無學解夢)·설중매(雪中梅)·삼인봉(三印峰)·자마풍간(子馬諷諫)·위맹성참(僞盟成讖)·대목위주(大木爲柱)(이상 태조 때) 같은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으며, 끝부분에는 명암(鳴岩)·이모취서(以貌取婿)·초룡주장(草龍珠帳)·흉즉길(凶則吉)·이승고소원(尼僧固所願)·벌지멱지(罰紙覓紙)(이상 숙종 때) 같은 이야기들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조선조에 유행했던 야담 작품들을 각종 잡록류나 전문 야담집으로부터 발췌하거나 혹은 구비전설까지도 수집하여 독자의 읽을거리로 제공하였고, 나아가 후일 야담문학의 성황을 이루게 한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도 그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오백년기담(五百年奇譚)』(최동주, 광학서포, 1913)
「《오백년기담》의 찬자와 형성과정에 대하여」(김동욱, 『도남학회』 제25집, 2015)
집필자
조희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