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오산문집
오산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최태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경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태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경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연활자본. 간행 연도는 정확하지 않으나 대략 1910년을 전후해 손자 정우(正愚)가 편집,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김도화(金道和)와 정우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 139수, 권2·3은 서(書) 115편, 권4는 잡저 5편, 책문(策問) 2편, 서(序) 7편, 기(記) 3편, 잠(箴) 3편, 상량문 3편, 권5는 제문 18편, 애사 3편, 묘지 1편, 행장 4편, 권6은 부록으로 만사·제문·묘지명·가장(家狀)·행장·묘갈명·통문·권복재기(拳服齋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書)는 스승 유치명(柳致明)에게 올린 것이 7편이 있는데, 모두 문목(問目)과 별지(別紙)가 들어 있다. 그밖에 신석우(申錫愚)·정홍경(鄭鴻慶)·조두순(趙斗淳)·유기상(柳基相)·홍직필(洪直弼) 등 당대의 명사들에게 보낸 것이 있으며, 학문과 시사를 논하였다.

잡저 가운데 「통모록(慟慕錄)」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지은 글로 슬픔과 사모의 정이 간절하게 나타나 있다.

「배문록(拜門錄)」은 1845년(헌종 11) 유치명을 처음 찾아 갔을 때의 일을 기록한 것이다. 집지(執贄: 제자가 스승을 처음 뵐 때 예물을 가지고 가서 경의를 표함)한 뒤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성리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문답한 내용이 들어 있다. 「지도추배록(智島趨拜錄)」·「남행견문록(南行見聞錄)」 등도 스승을 찾아 갔던 기록이다.

책의 「삼정전책(三政殿策)」은 1862년(철종 13) 왕이 삼정책에 대한 의견을 널리 구했을 때 지은 것으로, 시폐(時弊)와 그 대책을 비교적 상세히 논하고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