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수리 석불 ( )

목차
관련 정보
오수리 석불
오수리 석불
조각
유물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입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오수리석불(獒樹里石佛)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9년 12월 27일 지정)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10길 24-22 (오수면, 오수리석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입상.
내용

오수리 석불은 관월마을의 남서쪽에 있는 석불입상이다. 이 석불입상은 배 모양의 광배를 갖추고 있으며 불상은 광배 중앙에 조각되어 있다. 오수리 석불의 좁고 긴 배 모양의 주형(舟形) 광배는 영암 도갑사 석불좌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 영암 도갑사 석불좌상의 주형 광배는 담양 영은사 석불좌상의 광배 모양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오수리 석불의 광배는 고려 전기에 호남지역에서 유행하였던 광배의 한 형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오수리 석불의 광배 상부 중앙에는 두광을 갖추고 결가부좌한 화불 1기가 음각되어 있다. 화불의 수인은 마모가 진행되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주형 광배 안에는 두 줄의 음각선으로 두광과 신광을 별도로 구분하여 새겼다. 두광 주변에는 화염문 형태의 음각선을 새겼으며 신광 주변에는 연화문의 화판을 삼각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규칙적으로 조성하였다. 두광은 폭이 좁은 연판문을 갖춘 화문(花紋) 형태이다.

오수리 석불의 머리는 머리카락이 표현되어 있지 않은 소발(素髮)이며 정상부에는 좁고 높은 육계가 있다. 귀는 목의 윗부분까지 흘러내렸는데 다른 불상의 귀에 비해 작은 편이다. 눈은 옆으로 길게 뻗은 형태이다. 코는 일부 마모되었으며 입은 상대적으로 작게 표현하였다. 목에는 굵은 삼도가 있다. 석불은 양어깨를 모두 덮는 형태의 옷인 통견을 착용하고 있는데 역삼각형 모양으로 가슴이 일부 드러나 있다. 가슴 중앙의 옷 주름은 수직에 가까운 사선형으로 표현하였다. 팔의 옷 주름은 가슴의 옷 주름에 비해 수평에 가깝게 조각되었다. 마주 잡은 두 손을 넓은 옷자락이 덮고 있다.

오수리 석불은 원래 허리 아랫부분이 매몰되어 있었는데, 2002년 군산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하면서 석불이 세워졌던 원위치와 석불의 대좌, 전체 높이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석불의 원위치는 현재 있는 곳에서 남쪽으로 3m 정도 떨어진 곳인데, 노출된 대좌 적심유구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발굴 조사 후 확인된 불상광배의 전체 높이는 502㎝불상의 높이는 392㎝이다. 대좌의 크기는 길이 242㎝두께 27㎝이다. 대좌의 상면에는 복련의 연판문이 시문되어 있으며 대좌 중앙에는 원형의 구멍이 있다. 이 구멍은 불상의 하단에 촉을 만들어 끼워 넣을 수 있게 만든 것이다. 구멍의 크기는 길이 52㎝깊이 15㎝이다. 발굴조사 이후 주변을 정비하고 현재의 위치에 신체 하단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오수리 석불을 세웠다. 석불의 대좌는 지표 아래에 매몰되어 있다.

오수리 석불의 조성 시기는 고려 초에 제작된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의 광배를 모방하고 있는 모습과 발굴 조사에서 어골문 기와가 출토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고려 전기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태봉과 고려 석조미술로 보는 역사』(정성권, 학연문화사, 2015)
『임실 오수리·학정리 석불입상』(군산대학교 박물관, 200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성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