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7년 최병호의 손자 최태석(崔太錫)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건승(李建昇)의 서문과 권말에 손자 최태호(崔太鎬)의 발문이 있다. 별집에는 정재규의 서문과 이태식(李泰植)의 발문이 있다.
7권 3책, 별집 1책, 합 7권 4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부(賦) 2편, 시 227수, 권3에 서(書) 60편, 권4·5에 잡저 30편, 권6에 기(記) 9편, 서(序) 6편, 발(跋) 6편, 권7에 명(銘) 3편, 사(辭) 4편, 상량문 2편, 고문(告文) 2편, 제문 16편, 묘갈명 2편, 묘표 3편, 묘지 1편, 행장 2편, 전(傳)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별집 1책에는 「동국지승집략(東國地乘集略)」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는 이건창을 비롯해 최익현·정재규·권봉희·곽종석·김택영(金澤榮) 등 한말의 거유들과 주고받은 것으로, 학문적인 내용보다는 시사에 관한 것이 많다.
잡저 가운데 「독권사간소(讀權司諫疏)」는 권사간의 상소문을 읽고 그 소감을 피력한 것인데, 우국충정으로 당시의 시폐와 민생의 어려움을 모두 지적해 언관의 도리를 다했다고 찬양한 내용이다. 「변씨시의기(卞氏施義記)」는 정곡(井谷)에 사는 변규형(卞圭亨)의 아들·며느리·손자 등 삼대가 친척·인우(婣友)·노복 등에게 시의(施義)한 사실을 기록한 전기체 글이다. 「장계(葬戒)」에는 동생인 최병렬(崔炳烈)이 풍수지리설에 현혹되었음을 경계하고, 장사지내는 일은 중대사이니 정성을 다해 장지를 구해 모셔야 하며, 함부로 이장(移葬)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잡저 가운데 설(說)에는 김치우(金致祐)·권재찬(權載瓚) 등의 자설(字說)과 「명기설(名器說)」·「빙리설(氷鯉說)」·「포호설(捕虎說)」 등이 있다. 그 가운데 「포호설」은 대덕산(大德山)의 나무꾼 김원찬(金元贊)의 효행을 기록한 것으로, 호랑이에게 잡혀 간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함정을 파 놓고 주야로 치성을 드린 끝에 1년 만에 복수하였다는 내용이다. 「과거집언(科擧集言)」은 과거 제도의 연혁과 폐단, 그에 대한 대책을 제시한 것이며, 이 방면의 연구에 참고자료가 된다.
별집의 「동국지승집략」은 단군 시대로부터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역대 왕조의 시조(市朝)의 변천과 도읍의 연혁, 정치의 성쇠, 산천, 성곽의 대소, 풍기(風氣), 인물의 강유성쇠(剛柔盛衰), 토양의 비척(肥瘠), 공물(貢物)과 부세(賦稅)의 고하 등을 강목체(綱目體)로 쓴 역사·지리서다. 이 책은 허목(許穆)이 편찬한 『동국역대사적(東國歷代事蹟)』을 비롯해 『세가지승(世家地乘)』·『여지승람(輿地勝覽)』·『대한지지(大韓地志)』 등을 참고하여 요점만을 골라 편술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