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헌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학자, 위계룡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학자, 위계룡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7권 2책. 신활자본. 1976년 손자 일환(一煥)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준식(金駿植)의 서문, 권말에 족제(族弟) 계도(啓道)와 손자 일환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수에 목록이 있고, 시 290여 수, 서(書) 138편, 잡저 10편, 서(序) 20편, 기(記) 58편, 제발(題跋) 18편, 잠(箴) 1편, 명(銘) 3편, 찬(贊) 1편, 상량문 7편, 축고문(祝告文) 17편, 제문 26편, 비문(碑文) 7편, 묘갈명 19편, 묘표 5편, 행장 22편, 유사 1편, 전(傳) 2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광천도중(廣川途中)」·「양주도중(楊州道中)」·「도금강(渡錦江)」·「도동작강(渡銅雀江)」 등 기행시가 많다. 그밖에는 시우(詩友)들과의 차운·화답류나 만시가 대부분이다. 만시 가운데는 스승 최익현(崔益鉉)의 죽음을 애도한 「곡면암선생(哭勉菴先生)」이 있는데, 은연중 충심(忠心)과 의분을 나타내었다.

서(書)에는 송근수(宋近洙)·송병선(宋秉璿)·최익현·기우만(奇宇萬)·송병순(宋秉珣)·정의림(鄭義林) 등 그가 스승으로 섬긴 당시 기호학파의 명사들에게 보낸 것이 많다. 학문적 내용의 별지나 문답이 실려 있다.

잡저에는 「충효설(忠孝說)」·「경독본도창의통문(敬讀本道倡義通文)」·「경독최면암소(敬讀崔勉庵疏)」·「경독기송사소(敬讀奇松沙疏)」 등 어지럽던 한말의 정치·시국관을 나타낸 글이 주목된다. 그의 현실 참여적 처세관을 읽을 수 있다.

기에는 화양동의 만동묘(萬東廟)에 다녀온 기록인 「화양행일기(華陽行日記)」를 비롯하여 「평양유상일기(平壤遊賞日記)」 등 수 편의 글이 있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