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살 ()

목차
고대사
제도
고구려시대의 지방관직.
이칭
이칭
욕살(耨薩·辱薩)
목차
정의
고구려시대의 지방관직.
내용

고구려는 지방통치조직을 대성(大城)·성(城)·소성(小城)의 3단계로 구획하고, 여기에 중앙관리를 파견하였는데, 이 중 대성의 장관을 욕살(褥薩·耨薩·辱薩)이라고 하였다.

고구려의 대성은 군(郡) 규모의 여러 성(城)을 통할하는 커다란 행정구역인데, 동·서·남·북·내(內)의 5부(部)가 있었으며, 각 부에 욕살이 파견되었다. 욕살의 임무는 행정과 군사의 양면을 관장하는 군정적(軍政的) 책임을 지니고 있었으며, 중국의 도독(都督)에 비정된다.

욕살 이외의 고구려의 지방관으로는 성을 다스리는 처려근지(處閭近支, 혹은 道使)와 소성을 다스리는 가라달(可邏達)이 있었다.

참고문헌

『한원(翰苑)』
『수서(隋書)』
『구당서(舊唐書)』
「삼국(三國)의 형성(形成)」(이기백, 『한국고대사론(韓國古代史論)』, 탐구당, 1975)
「朝鮮三國の軍區組織」(山尾幸久, 『古代朝鮮と日本』, 1974)
「朝鮮三國·高麗の軍事組織」(末松保和, 『古代史講座』5, 1962 ; 『靑丘史草』1, 1965)
집필자
김용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