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곡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임상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임상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권 1책. 목활자본. 1932년 현손 학수(學洙)·창수(昌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소학규(蘇學奎)의 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앞에 목록이 있으며, 이어 시 225수, 잡저 3편, 부록으로 가장(家狀)·행장·묘갈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탄빈궁(歎貧窮)」·「민환상곡(憫還上穀)」 등의 풍자시, 「감제갈공명(感諸葛孔明)」·「관삼국지유감(觀三國志有感)」 등의 영사시(詠史詩), 「술물성(述物性)」과 같이 이학적(理學的)인 내용, 「영의(詠醫)」와 같이 직업윤리관을 표현한 것, 「증홍도기(贈紅桃妓)」·「증설중매기(贈雪中梅妓)」 등 남녀간의 공상적인 연애감정을 표현한 것 등 비교적 다양한 소재를 택하였다.

잡저의 「사경사상지도(四經四象之圖)」는 문자만으로 된 도표에 해설을 가하고 있는데, 음양오행설에 입각하여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설명한 내용이다.

또한, 「사경편차강령설(四經編次綱領說)」은 소옹(邵雍)이 지은 『황극경세(皇極經世)』의 말을 인용하여 『주역』·『서경』·『시경』·『춘추』의 네 경서를 사상(四象)에 배치시켜 치국(治國)·경세(經世)의 도리를 설명하였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