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국재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우국재문집
우국재문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홍경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홍경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1책. 목판본. 1729년(영조 5) 12대손 병모(秉模)가 그의 사적과 글을 여러 서적에서 뽑아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병모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선계(先系), 후곤록(後昆錄) 33편, 권3은 부록으로 행장 1편, 제문 16편, 채고(採攷) 8편, 찬술 2편, 권4에 연보, 문집간역고성문(文集刊役告成文)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가운데 「회우등루운(會友登樓韻)」은 비가 오는 것을 보고 자연의 오묘한 이치를 읊은 작품이다. 이밖에 벼슬길에 나아가 느낀 것을 자연과 국가의 흥망에 연결시켜 자신의 우국충정을 드러내보인 시가 있다.

저자는 외가가 왕씨(王氏)라는 이유로 관직에서 포부를 펼치지 못하였는데, 벌레가 가을이 되면 우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우울하고 답답한 심정을 글이나 시로 지어 자기의 포부를 노래하며 마음을 달랬다고 한다.

이 책은 저자의 이와 같은 정한(情恨)과 인품, 그리고 당대에 널리 알려졌던 덕행을 넉넉히 짐작할 수 있는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