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달치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후기 몽고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군사 조직.
이칭
이칭
옥전치(玉田赤), 우단치(于丹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 몽고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군사 조직.
내용

어원은 옥전치(玉田赤), 우단치(于丹赤)와 마찬가지로 문지기[司門人]를 뜻하는 몽고어의 차자(借字)이다. 국왕의 주위에서 근시(近侍), 숙위(宿衛)하는 업무를 담당하였으며 홀치(忽赤), 속고치(束古赤) 등과 더불어 애마(愛馬)로 불렸다.

고려가 몽고의 간섭을 받게 되는 충렬왕 이후에 설치된 것이 분명하지만 자세한 시기는 알 수 없으며 주로 공민왕 때를 전후하여 기록에 나타난다. 조선 초에 애마를 혁파할 때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사(高麗史)에 실려 있는 몽고어(蒙古語)」(뽈 펠리오, 민현구, 『백산학보(白山學報)』4, 1968)
「高麗兵制管見」(內藤雋輔, 『靑丘學叢』16, 1934)
「高麗史に見える夢古語の解釋」(白鳥庫吉, 『東洋學報』8-2, 192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