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주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원석의 시 · 서(書) · 제문 · 만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원석의 시 · 서(書) · 제문 · 만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필사본. 권두에 이종렬(李種烈)의 서문이, 권말에 증손 성원(聖源)의 발문이 있다. 벽진이씨대종회에 있다.

권1에 시 80수, 서(書) 14편, 서(序)·기(記)·통문 각 1편, 제문 16편, 묘표 1편, 가장 1편, 권2에 부록으로 만장 30수, 애사 2편, 제문 6편, 가전·행록·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시대적 영향을 받아 불우함을 탄식하는 것과 국가의 앞날을 염려하는 우국충정을 읊은 것이 많다. 「운림구곡무이도가운(雲林九曲武夷棹歌韻)」에서는 세속을 떠나 신선이 되어 무한한 정신계에 내왕하면서 즐거움을 누리는 상상의 세계를 묘사하고 있다. 서(書) 중 「여척암서(與拓菴書)」는 당시 영남의 거유 김도화(金道和)에게 보낸 것으로, 학문의 수행방법과 선대(先代)를 위한 사업으로 묘갈(墓碣)을 세우는 일의 중요성 등이 언급되어 있다.

서(序)의 「의계서(義稧序)」는 의리를 수행하고 지키기 위하여 조직한 의계에 대하여 그 중요성과 당위성을 경전의 구절을 이용하여 설명한 글이다. 「서정록(西征錄)」은 이설(李渫)이 북간도에서 수집하여 온 『서정록』의 중요성을 적은 글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