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1997년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절터에 남아 있는 부도는 3기로 모두 석종형(石鍾形)인데, 누구의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부도는 화강암으로 만든 것으로 높이 180∼200㎝ 정도의 크기이다.
이 가운데 1기는 무너져 있고 2기는 완전한 편이다. 이들 부도는 8각형의 대석 위에 당초무늬 하대(下臺)가 놓이고 그 위에 연판(蓮瓣)이 긴 연꽃이 조각된 상대(上臺)가 올려져 있다. 상대 위에 석종형 탑신(塔身)이 놓였으며, 탑신의 머리에 보주형(寶珠形) 꼭지를 조각해 놓았다.
그 중 1기에는 탑신의 밑에 굵은 띠를 둘러 종 모양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조선시대 석종형 부도를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