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반 ()

목차
관련 정보
원반
원반
식생활
물품
천판의 형태가 둥근 소반.
목차
정의
천판의 형태가 둥근 소반.
내용

통이 큰 아름드리 나무를 이용하여 굽다리까지 한꺼번에 깎아 만든 통반(쟁반소반)을 일컫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다리의 형태에 관계없이 천판이 둥근 것을 총칭한다.

종류는 크기에 따라 대원반·중원반으로 나누고, 다리의 형태에 따라 두리반[八面床]·쟁반소반·호족원반(虎足圓盤)·구족원반(狗足圓盤) 등으로 나눈다. 마감은 흑칠보다는 주칠이 많다.

조선시대의 궁중용 기물을 도해한 『진찬의궤(進饌儀軌)』에 의하면, 원반은 수라상이나 잔칫상 차림에 있어서 주반(主盤)의 위치를 차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천판의 지름이 넓은 원반일수록 다리 및 변죽의 높이가 병설되는 소형의 곁상보다 오히려 낮은데, 이는 원반 위에 음식물을 바로 진설하지 않고 굽이 높은 제기형 접시에 받쳐 이중으로 괴어 사용하였던 데서 비롯된다. 이러한 원반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신라시대 토기기반(土器器盤)의 형식에서 그 조형(祖形)을 찾을 수 있다.

원반도 다른 소반과 함께 소목장(小木匠)의 일에 속한다. 이 때 천판은 은행나무를 주로 사용하며, 전래 수공업 기계인 갈이틀[旋車]에 물려 원심력을 이용하여 깎는다.

특히, 원반 가운데 대표적인 주칠대원반은 다리를 균일한 여덟 쪽의 판재를 서로 잇대어 결구하고, 각 쪽의 중심에는 완자문·여의두문 등을 투각하는 등 정성스럽게 제작하여 궁중에서 전용하였는데, 조선 말기 이후에는 저변화되면서 규모가 작아져 공고상이나 돌상의 형태로 변형되기도 하였다.

대표적인 유물은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주칠호족원반,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주칠호족원반 등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목공예』(이종석, 열화당, 1986)
『소반』(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2)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최공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