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물쇠

목차
관련 정보
자물통
자물통
주생활
물품
여닫게 되어 있는 기물에 채워서 열지 못하도록 잠그는 장치.
내용 요약

자물쇠는 여닫게 되어 있는 기물에 채워서 열지 못하도록 잠그는 장치이다. 크게 자물통과 잠글쇠·열쇠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가장 오래된 것은 부여 부소산 백제시대 성지에서 출토된 철제 자물쇠이다. 이는 조선 시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ㄷ자형이다. 자물쇠는 고유 기능 외에 쓰이는 곳과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중요 물품을 보관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기복과 벽사의 상징물로도 쓰였다. 작게 만들어 노리개 장식의 일부로 사용하기도 했다. 현재 자물쇠 만드는 두석장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그 제작 기술을 보존하고 있다.

목차
정의
여닫게 되어 있는 기물에 채워서 열지 못하도록 잠그는 장치.
내용

쇄금(鎖金) · 쇄약(鎖鑰)으로도 쓴다. 자물쇠는 크게 자물통과 잠글쇠 · 열쇠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시정장치(施錠裝置)의 주요기능은 일반적으로 자물통과 잠글쇠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잠글쇠의 청줏대에 부착된 탄력성 있는 V자형의 속청을 자물통에 끼워 넣어 잠그게 된다. 이 때 자물통의 열쇠구멍 및 청줏대에 부착된 속청의 크기와 구조에 맞는 열쇠가 아니면 열 수 없게 배려되었다.

중국에서는 『예기(禮記)』나 『회남자(淮南子)』 등 진(秦) · 한의 문헌에서 이미 자물쇠에 관한 기록이 보인다. 우리 나라에서도 유물로 확인된 바에 의하면 삼국시대 이전으로 소급되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충청남도 부여 부소산의 백제시대 성지에서 출토된 철제 자물쇠는 이러한 사실을 입증하는 최고(最古)의 유물이다. 이 자물쇠는 조선시대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ㄷ자형 괴불자물쇠와 기능 및 형식에서 매우 비슷하다. 안압지에서도 개폐구조와 형식에서 앞의 부소산성 출토품과 일치하는 철제자물쇠가 발견되었다. 이로써 조선시대 이후까지의 자물쇠 형식의 흐름을 개략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자물쇠는 중요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고유 기능으로 인하여 일반기명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다. 그러나 그것이 쓰이는 곳과 시대에 따라 구조 및 형태에서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보이고 있다.

· · 뒤주 · 가께수리 · 의걸이장 등 가구의 기능과 구조가 발전, 변모하고 새로운 형태의 가구가 제작되면서, 그 흐름에 대응한 보다 기능적인 자물쇠가 새롭게 제작되었다. 자물쇠의 종류는 크게 대롱자물쇠 · 함박자물쇠 · 물상형(物象形)자물쇠 · 붙박이자물쇠 등으로 대별된다.

대롱자물쇠는 자물통의 형태가 장방형의 ㄷ자형을 기본으로 하여 몸통이 1단의 층급을 두고 돌출한 것이다. 몸통 쪽에는 속청이 부착된 청줏대가, ㄷ자형의 양끝에는 가는 줏대가 각각 가로지르는 형식을 갖추었다.

여기에는 사각자물쇠 · 소매자물쇠 · ㄷ자자물쇠를 비롯하여 활대(滑帶)자물쇠 · 무배꼽약공부형(鑰孔付形)자물쇠 · 비밀자물쇠 · 오면(五面)자물쇠 등이 포함되는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다. 이 가운데 활대자물쇠는 자물통보다는 열쇠의 형태가 기하학적인 대칭곡선을 이루어 조형미를 함께 갖추고 있기도 하다.

열쇠구멍을 반구형의 혹으로 가리고, 같은 형태의 장석을 그 좌우 및 전면에 여러 개 배치한 비밀자물쇠는 자물쇠의 시정기능을 더욱 강화한 예로서 주목된다. 함박자물쇠는 ㄷ자형의 자물통을 기본형으로 하되 그 앞면 중심에 토시라고 불리는 커다란 배꼽형태의 반구체를 부착하였으며, 수박자물쇠 · 배꼽자물쇠라고도 한다.

열쇠는 일반적인 것과 달리 자물통 앞면 토시의 열쇠구멍에 원통형의 열쇠끝을 넣고 그것을 축으로 회전시켜 연다. 물상형자물쇠는 대롱자물쇠와 같은 ㄷ자형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자물통의 형태가 붕어 · 용 · 박쥐 · 주1 등 특정한 동식물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닮게 제작한 것이다.

각각의 형태는 자물통의 기능에 맞게 몸체를 구부리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부분만을 강조하였다. 특히, 물상형의 경우에는 그 표현대상이 대부분 길상 또는 벽사적(辟邪的)인 상징성을 내포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붕어는 남아의 생산과 주2이라 하여 출세를, 박쥐는 구복(求福)과 벽사를 함께 상징하고 있다.

자물쇠에 부여된 이러한 상징적 요소는 조선 말기에 들어 더욱 확산되면서 부분적으로는 형태를 작게 만들어 어린아이의 목에 걸어주거나, 장도와 함께 노리개 장식의 일부로 사용하는 등 자물쇠 본래의 기능과 다른 기복과 벽사의 상징물로 쓰이기도 하였다.

자물쇠를 고정시키거나 보강제 구실을 하는 고리 · 배목 · 뻗침대 등 장석류도 자물쇠 장치에서 빼놓을 수 없다. 고리와 배목은 자물쇠 또는 자물쇠를 거는 고리를 각각 문판에 고정시켜 자물쇠의 기능을 완전하게 하는 구실을 담당한다.

그리고 반닫이 · · 류의 뚜껑이나 몸체의 위편에 한쪽을 고정하고 문판에 다른쪽을 내려뜨려 몸체와 문을 연결하는 뻗침대도 선(線)자물쇠의 빗장이나 ㄷ자형자물쇠의 줏대와 같은 기능으로서 중요하다.

재료는 주3 등 같은 장석류와 더불어 고대에는 철제 위주로, 조선 후기까지는 구리에 아연과 상납을 합금하여 사용하였다. 조선 말기 이후부터는 구리와 니켈합금의 백동(白銅)제가 널리 유행하였다. 그러나 반닫이 · 뒤주 등 가구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추세와 관계없이 거멍쇠가 계속 사용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다른 장석류와 함께 경공장(京工匠)에 소속된 두석장(豆錫匠)이 제작을 담당하였으며, 현재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그 제작기술을 보존해가고 있다.

참고문헌

「鍵○錠の金屬學」(內山惠大, 『金屬』 46, アグネ社, 1972)
「錠と鍵」(稻田淳夫, 『The 骨董』 Vol. 4, 1981)
주석
주1

대의 마디. 우리말샘

주2

물고기가 변하여서 용이 된다는 뜻으로, 아주 곤궁하던 사람이 부귀를 누리게 되거나 보잘것없던 사람이 큰 인물이 됨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여닫이문을 달 때 한쪽은 문틀에, 다른 한쪽은 문짝에 고정하여 문짝이나 창문을 다는 데 쓰는 철물. 우리말샘

집필자
최공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