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농 ()

목차
관련 정보
공예
개념
옷 따위를 넣어 두는 장과 농을 합하여 부르는 가구.
목차
정의
옷 따위를 넣어 두는 장과 농을 합하여 부르는 가구.
내용

장과 농은 본래 형식이 달라, 층별로 분리되는 농과 옆널이 하나로 붙어 있는 장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근대 이후 의생활의 변화에 따라 농보다는 장이 널리 쓰이기 시작하였고, 뒤늦게 발달한 의걸이장의 예에서와 같이 수납가구가 장 중심으로 발달하면서 장 · 농의 명칭도 엄격한 구분이 사라졌다.

따라서 장롱의 명칭은 가구의 보통명사로서 자리잡게 되었으며, 심지어는 두 가지 가구를 합하여 ‘장’ 또는 ‘농’으로 통칭하는 경우마저 없지 않다. 이러한 용어상의 혼용 경향은, 반닫이와 장의 기능이 혼합된 이층 · 삼층 반닫이의 절충형식에서 보듯, 조선 말기 및 근대의 변화된 생활환경을 기반으로 새로운 기능의 창출이 요구되던 분위기에서 본래의 기능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등 전통 가구양식의 과도적 변화과정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다.

장과 농은 양식상의 갈래를 달리하는데,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의 “농은 본래 죽기(竹器)”라는 기록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초기의 농은 대나무와 주1 · 주2 등을 엮어 만든 상자 형태, 즉 궤(櫃)의 형식에서 유래되었다. 이 궤가 서민가의 수장가구로서 폭넓게 기능하였음은 물론이다.

가구재가 목재로 바뀐 것은 얇은 판재를 켤 수 있는 부판용 톱의 개량에 따른 것이며, 이 무렵부터 장롱이 일반에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농은 상자형의 궤를 두 세층으로 겹쳐 쌓은 후에도 기능적으로 쓸 수 있게 앞널에 문을 만든 데서 비롯되었으며, 장은 이러한 농의 형식을 기본으로 하여 양측 널을 하나의 판재로 붙여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기능적으로 쓸 수 있게 한 진전된 형식이다.

1900년 전후의 근대기에는 장롱을 만드는 소목장(小木匠)이 운영하는 가구공방의 간판에 ‘粧籠(장롱)’이라는 표기도 눈에 띈다. 장과 농을 함께 진열한 이 공방에서 이처럼 표기한 것은 장식치레가 부가된 수장가구를 통칭하는 의미일 것이며, 앞 시기에 비하여 금구(金釦) 장식이 크고 화려해진 당시 가구양식의 특징과 함께, 이 무렵부터 이미 장과 농에 대한 용어상의 혼용 경향이 나타났음을 뒷받침해 준다.

오늘날의 가구는 농이 거의 사라지고 장 중심으로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으나, 조선시대 가구의 우수한 전통이 창의적으로 계승되지 못하고 무분별하게 수용한 서구양식이 대종을 이루고 있다.

주석
주1

콩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2~3미터이며, 잎은 세 잎이 나온다. 7월에 짙은 자색이나 홍자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협과(莢果)로 10월에 익는다. 나무는 땔감, 잎은 사료, 나무껍질은 섬유의 원료로 쓴다. 한국, 일본, 중국 북부, 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2

버드나무의 가지. 우리말샘

집필자
최공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