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덤은 노월초등학교 앞 국도 건너 벼랑 위에 분포하고 있었다.
농경지의 객토작업을 위해 일대의 토담을 제거하던 중 유물이 발견되어 1977년 경주사적관리사무소(慶州史蹟管理事務所)에서 발굴 조사함으로써 무덤의 성격이 밝혀지게 되었다. 당시 조사된 것은 돌덧널무덤[石槨墓] 2기, 구덩이[土壙]유적 1개소였다.
제1호 돌덧널무덤은 길이 330㎝, 깊이 25㎝이나 너비는 북쪽이 90㎝, 남쪽이 80㎝이다. 이것은 머리부분이 북쪽을 향하게 시체가 안치되었음을 알려준다.
무덤의 바닥은 큰 냇돌과 아주 작은 냇돌을 깔았고, 네 벽은 자연석을 사용해 이를 맞추어 쌓아올렸다. 유물은 바닥의 남쪽과 북쪽에 다같이 놓였다. 밑이 둥근 목항아리[圓底長頸壺], 굽다리접시[高杯], 쇠로 만든 손칼[鐵刀子], 투겁창[鐵鉾], 철도끼[鐵斧] 등이 출토되었다.
제2호 돌덧널무덤은 길이 280㎝, 깊이 38㎝, 너비 75㎝ 내외이다. 바닥은 냇돌을 깔지 않은 맨땅이었다. 네 벽은 제1호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었다. 유물 역시 양편에 놓였는데, 둥근 바닥항아리[底壺]를 비롯해서 굽다리목항아리[臺付長頸壺], 뚜껑있는 굽다리접시[有蓋高杯], 붉은 토기[赤色土器]등이 수습되었다.
구덩이는 지름 110㎝, 깊이 20㎝이다. 지름 80㎝ 범위에서 목항아리[長頸壺] 2점, 뚜껑 있는 굽다리접시 10점, 붉은 토기 4점, 손칼조각이 수습되었다.
이 유적의 조사로 이 일대에 삼국시대의 돌덧널무덤떼가 분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무덤은 경작 등으로 인한 피해를 감안한다면 길이 3m 내외, 너비 1m 내외, 깊이 50㎝ 내외로 복원되고, 머리는 북쪽으로 향하게 하였고, 토기 등 부장품(副葬品)을 넣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구덩이는 수습된 유물로 볼 때, 무덤으로 보기 어렵고 어느 무덤의 부속시설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