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자가 견문한 명인들의 시문·언행들을 붓 가는 대로 적은 글이다. 『대동야승』을 비롯한 여러 야사 총서들에는 ‘월정만필(月汀漫筆)’로 표기되어 있으나, 『청운잡총(靑韻雜叢)』 및 『시화총림』에는 ‘월정만록(月汀漫錄)’으로 기록되어 있다. 월정이란 저자인 윤근수의 아호이며, 『오음잡설(梧陰雜說)』의 필자인 두수(斗壽)는 윤근수의 맏형이다.
저작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내용 중에서 저자가 네 차례나 북경에 왕래한 사실에 대하여 언급하면서 마지막으로 연경(燕京)에 갔던 만력(萬曆) 갑오년(1594, 선조 27)에 대하여도 기술하고 있는 것을 보면, 이 해가 상한선임을 알 수 있다. 마에마(前間恭作)의 『고선책보(古鮮冊譜)』에서는 『대동야승』의 기록을 근거로 만력 25년 정유년(1597)을 편찬연대로 단정하고 있다.
이 책에 대해서는 『연려실기술』 별집 야사목록 및 『증보문헌비고』 권246에 기록되어 있고, 이본으로 『대동야승』(권57)본 외에도 『광사』(제9집, 권122)·『패림』(권14)·『한고관외사』(권30)본 등이 있다. 『시화총림』(卷夏)본은 다만 9항에 지나지 않는 초략본이다.
한편, 『월정별집(月汀別集)』(4권 2책)에도 만필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과 「월정만필」을 대조해 보면 체재나 순서뿐 아니라 내용도 출입이 많다. 『대동야승』의 「월정만필」은 제목이 붙어 있지 않고 한 항목이 끝나면 줄을 바꾸어 기록되어 있는데, 이렇게 하여 총 53장에 걸쳐 약 130여 항목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의 주요 내용은 중국 및 우리나라의 역사 고증·풍속·문장·필법·시화(詩話)·인물·설화·풍수·복서(卜筮)·중사(中使) 접대 등에 관한 것인데, 중국은 3대(하·은·주)로부터 명나라 때까지, 우리나라는 기자조선에서부터 조선조 선조 때까지의 일을 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중국 관계는 명나라, 특히 저자가 네 차례에 걸쳐 연경을 왕래하면서 견문한 인물·풍속·제도 등에 관하여 기록하였다.
우리나라 관계는 조선조 중기의 기묘사화나 을사사화에 관하여 비교적 소상히 기술하고 있어 이 시기 정치사회사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 문인들이 주고받은 한시들은 문학사 연구에 보탬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