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남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위남문집
위남문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박희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박희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1책. 목활자본. 1920년 후손 남현(南鉉)·우현(祐鉉)·태규(泰奎)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윤희(趙胤熙)·윤영만(尹永萬)·남현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후손 종호(宗鎬)·태규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진원현연혁사실(珍原縣沿革事實)·세계도·요관이력(料官履歷), 찬(贊) 5편, 동방록(同榜錄) 1편, 권2에 수묵유적(手墨遺蹟)으로 오언시초병팔첩본판(五言詩草屛八帖本板)과 청백전가(淸白傳家), 시 3수, 지(誌) 1편, 권3·4에 부록으로 벽골제기(碧骨堤記) 2편, 기사록(耆社錄)·제명기(題名記)·유림록(儒林錄)·문형(文衡)·시가(詩家)·필원(筆苑)·청백록(淸白錄)·좌명공신(佐命功臣)·종유록(從遊錄)·학림원동향록(鶴林院同享錄)·축문·홀기·진설도(陳設圖)·행장·묘갈명·해동명적중간기(海東名蹟重刊記)·청백전가운(淸白傳家韻) 14편, 관작생진음사록(官爵生進蔭仕錄), 묘위도(墓位圖)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2의 시 3수와 지 1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명현록(名賢錄)』·『국조방목(國朝榜目)』 등에서 저자에 관계되는 기록을 뽑은 것이다.

시에는 1422년(세종 4) 회례사(回禮使)로 일본에 가서 지은 「이회례사재일본음(以回禮使在日本吟)」과 권근(權近)의 수연시(壽宴詩)인 「양촌권선생근수연운(陽村權先生近壽宴韻)」, 「초병팔첩(草屛八帖)」이 있고, 지에는 영의정에 추증(追贈)된 하윤린(河允潾)의 신도비음지(神道碑陰誌)가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