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문룡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용학도』, 『사서석의』, 『괴천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문견(文見)
괴천(槐泉)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53년(영조 29)
사망 연도
1821년(순조 21)
본관
진주(晉州)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용학도』, 『사서석의』, 『괴천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문견(文見), 호는 괴천(槐泉). 아버지는 유증신(柳增新)이며, 어머니는 정선전씨(旌善全氏)로 전만추(全萬樞)의 딸이다. 유증서(柳增瑞)의 문인으로, 1783년(정조 7)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태학(太學)에 있을 때 논의(論議)와 문사(文詞)가 출중하여 대신인 채제공(蔡濟恭)이 천거하려 하였으나, 당로자(當路者)의 시기로 이루지 못하였다. 그 뒤 유문룡은 벼슬의 뜻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 학문에 더욱 정진하며,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정종로(鄭宗魯)에게 서면으로 『중용』을 질의하였고, 정박(鄭墣)·권중헌(權中憲)·유운우(柳雲羽)·손병로(孫秉魯)·노광리(盧光履) 등과 학문적으로 교유하였다. 유문룡은 사서(四書)와 『주자대전(朱子大全)』을 깊이 연구하였다.

저술로는 『용학도(庸學圖)』·『주서발휘(朱書發揮)』·『대학도연의(大學圖衍義)』·『사서석의(四書釋義)』·『성리요해(性理要解)』·『근사록발휘(近思錄發揮)』·『제의집설(祭儀集說)』 등이 있었으나, 대부분 없어지고 『괴천문집(槐泉文集)』 2책이 전할 뿐이다.

참고문헌

『괴천문집(槐泉文集)』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