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화부인 ()

목차
고대사
인물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왕 주몽의 어머니로, 시조모로서 훗날 주몽과 함께 신으로 섬겨진 왕족.
인물/전통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BC 24년(동명왕 14)
출생지
미상
목차
정의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왕 주몽의 어머니로, 시조모로서 훗날 주몽과 함께 신으로 섬겨진 왕족.
내용

전설에 의하면 수신(水神)인 하백(河伯)의 장녀인 유화는 동생 위화(葦花)·훤화(萱花)와 함께 압록강가에서 놀다가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解慕漱)를 만나 크기가 닷되들이만한 알을 낳게 되었는데, 그 속에서 주몽이 나왔다고 한다.

또, 이규보(李奎報)의 서사시 「동명왕편(東明王篇)」에서는 주몽이 부여에서 남쪽으로 이주할 때에 신모(神母 : 柳花夫人)가 오곡(五穀)의 종자를 가지고 가라고 싸주었으나 이별하는 슬픔에 보리종자[麥子]를 빠뜨렸는데 신모가 사자(使者)인 비둘기를 시켜 주몽에게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사실은 유화부인, 즉 주몽의 신모가 맥류경작(麥類耕作)과 관련된 농업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화부인은 서기전 24년(동명왕 14) 8월 동부여에서 죽었는데, 그 왕 금와(金蛙)는 태후(太后)의 예(禮)로써 장례를 지내고 신묘(神廟)를 세워주었다.

한편, 뒤에 고구려에서는 주몽과 더불어 그 어머니인 하백녀(河伯女)가 국가적인 치제(致祭)의 대상으로 섬겨졌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동명왕편(東明王篇)』
『삼국지(三國志)』
『주서(周書)』
「주몽연구(朱蒙硏究)」(이옥,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7, 1972)
「동명왕편(東明王篇)에 보이는 신모(神母)의 성격(性格)」(김철준, 『유홍열박사화갑기념논총(柳洪烈博士華甲紀念論叢)』, 1971 : 『한국고대사회연구(韓國古代社會硏究)』
「古代祭政と穀靈信仰」(三品彰英, 『史林』21-1·2·3, 1936·1937)
집필자
김용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