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사익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병조참의,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언례(彦禮)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78년(성종 9)
사망 연도
1563년(명종 18)
본관
무송(茂松)
주요 관직
병조좌랑|사간원헌납|병조참의|한성부우윤|공조판서
관련 사건
을사사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병조참의,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언례(彦禮). 윤충보(尹忠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윤미견(尹彌堅)이다. 아버지는 부사(府使) 윤징(尹徵)이며, 어머니는 박수신(朴粹信)의 딸이다. 처는 정세걸(鄭世傑)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14년(중종 9) 생원으로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20년 병조좌랑(兵曹佐郞)·사헌부지평·사간원헌납을 거쳐 1525년(중종 20) 사헌부 장령에 승진하였다. 1526년 법관으로서 송사(訟事)자를 접대한 일로 인해 좌천되고, 1528년 경성도호부판관에 파견되었다.

이 때 대간(臺諫)으로부터 ‘성격과 능력상 피폐한 경성에는 적합하지 못하다’고 탄핵되었으나 중종의 옹호로 부임하였다. 1535년 사표(師表)가 될만한 유신이라 하여 사유(師儒: 성균관의 관직)에 선임되었다.

1538년 통례원좌통례로서 청백리(淸白吏)에 선정되고, 그 상으로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르면서 병조참의에 임명되었다. 1539년 참판의 가함(假銜: 외국에 임무를 띠고 수행할 때 현직 보다 한 단계 높은 관직을 임시로 받는 것을 일컬음.)을 띠고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나라를 다녀왔다.

이듬해 종2품 가선대부에 오르면서 한성부우윤에 제수되고, 곧 경연특진관을 겸대했으며, 1542년 공조참판으로 옮겼다. 1544년(중종 39) 정2품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르면서 판윤(判尹)에 제수되고, 1546년(명종 1)에는 공조판서에 발탁되었으며,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로서 『중종실록』의 수찬(修撰)을 지휘하였다.

이 때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이기(李芑)에 당부(黨附: 뜻을 같이 하여 붙음.)해, “조광조(趙光祖)는 부관참시(剖棺斬屍)해도 괜찮다.”고 하면서 사류(士類)의 모해(謀害: 모의해 해를 미침.)에 적극 참여하였다. 1553년 연로하다는 이유로 공조판서직을 사직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로 옮겼다.

1557년(명종 12) 윤원형(尹元衡)의 ‘연로훈신이니 가자(加資: 정3품 당상관 이상의 관직에 오름)해야 한다’는 계청(啓請)에 따라 종1품 숭정대부에 올랐다가 졸하였다.

명종 초·중기까지 정치를 천단한 이기와 윤원형에게 아부하고, 아들 윤옥(尹玉)이 이기의 심복노릇을 해 장기간 공조판서에 재직하였다. 그러나 식견이 짧아 별 치적을 남기지 못했다 한다. 시호는 공호(恭胡)이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명종실록(明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