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계유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안국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안국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898년 현손 상인(相仁)·상묵(相默)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주목(柳疇睦)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박영보(朴永輔)·노태현(盧泰鉉)·상묵과 5세손 문환(文煥)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책머리에 세계도 1편, 죽계지도(竹溪志圖) 1편, 전수도(傳授圖) 1편, 은계정사급소요대도(殷溪精舍及逍遙臺圖) 1편, 연보 1편, 권1은 시 20수, 도(圖) 6편, 잠(箴) 2편, 명(銘) 1편, 설(說) 7편, 가(歌) 1편, 예경변해(禮經辨解) 1편, 간독(簡牘) 1편, 권2·3은 부록으로 만사 18수, 제문 4편, 예궤서(禮饋書)·함주지(咸州志)·삼강록(三綱錄)·행장·묘비명·비·실록·가장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청아하며 사색적인 것이 특색이다. 「추월(秋月)」·「영사(永思)」·「신기(晨起)」 등은 높은 이상을 추구하면서도 자연의 이치에 순종하려는 안정감이 있고, 사실적으로 주위의 환경과 잘 조화를 이루어서 표현하고 있다.

「숙야잠(夙夜箴)」과 「격치잠(格致箴)」은 공부하는 데 필요한 격물(格物)·치지(致知)·정심(正心)·수신(修身) 등 『대학』 8조목의 기초적인 시행방침을 설정하여 일상생활에 지표를 삼고자 한 것이다.

이 밖에 하늘의 도리에 따르면 어디에 가나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다는 「천군안택설(天君安宅說)」 및 성리학의 기본인 사단칠정(四端七情)의 변화와 이행에 대하여 설명한 「오성칠정설(五性七情說)」, 그리고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를 하나같이 섬겨야 한다는 「삼사일설(三事一說)」과 불교를 배척하는 내용의 「벽불설(闢佛說)」 등이 있었으나, 제목만 있을 뿐 내용이 일실되었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