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천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홍택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홍택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2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42년 홍택주의 손자 홍우섭(洪禹燮)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충호(李忠鎬)의 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 301수, 만사 46수, 권3에 소 2편, 서(書) 28편, 서(序) 4편, 기(記) 6편, 권4에 지발(識跋) 5편, 축문 3편, 상량문 2편, 제문 2편, 묘지명 2편, 묘갈명 1편, 잡저 2편, 전(傳) 1편, 정문(呈文) 3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의 「척사소(斥邪疏)」에서는 척사의 방법으로 선비들의 습속을 바로잡아 사치를 금하고 농업과 양잠을 장려하며 행의(行誼)와 경술(經術)을 돈독히 할 것을 건의하였다. 과거제도에 있어서도 현행의 시·부(賦)·표(表)·의의(疑義)·논(論)·책(策) 등의 과목 중에서 실용에 도움이 되지 않는 시·부·표·의의 등은 없애고 논·책 2과만 둘 것을 청원하였다.

「청봉환대원군소(請奉還大院君疏)」는 영남유생을 대표하여 최익현(崔益鉉)의 탄핵으로 쫓겨난 흥선대원군의 복위와 군부(君父)를 논박한 최익현의 처벌을 주청한 글이다. 조선 후기의 정치 및 사회 문제를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서(書)는 이휘재와 이만시(李晩蓍) 등 사우(師友)들과 문답한 것으로 시사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잡저의 「권유응강제생(勸諭應講諸生)」은 고을의 훈임관(訓任官)으로 있을 때 강생들에게 권유한 글이다. 글을 배우는 사람은 농업과 양잠을 외우는 데만 힘쓸 것이 아니라, 수시로 성찰하고 실지로 체험하여 실천에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 밖에 임진왜란 때 이여송(李如松)을 따라와서 공을 세운 장해빈(張海濱)에게 작위(爵位)와 시호(諡號)를 내리라고 주청한 「장찰방청증사정수의장(張察訪請贈事呈繡衣狀)」 등이 있다. 이와 함께 생전에 어버이가 좋아하던 수박을 복상(服喪) 중에 지내던 움막 주변에 심어서 아침저녁으로 제상에 올린 신대원(申大遠)의 효행을 보고한 「신효자정포사정수의장(申孝子旌褒事呈繡衣狀)」 등은 충효의 관념을 일깨워주는 좋은 글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