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법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사물의 소리나 인간이 내는 소리를 그대로 묘사하여 실제처럼 표현하는 비유법. 사성법 · 성유법.
이칭
이칭
사성법(寫聲法), 성유법(聲喩法)
목차
정의
사물의 소리나 인간이 내는 소리를 그대로 묘사하여 실제처럼 표현하는 비유법. 사성법 · 성유법.
내용

사성법(寫聲法) 혹은 성유법(聲喩法)이라고도 한다. “시냇물이 졸졸 흐른다.”, “꾀꼬리가 꾀꼴 꾀꼴 울어댄다.”, “누렁개가 으르렁 으르렁 하니, 얼룩개가 컹컹 짖었다.” 등에서 '졸졸', '꾀꼴 꾀꼴', '으르렁 으르렁', '컹컹' 등을 사용하여 소리를 실제처럼 표현하는 표현법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는 읽는 이나 듣는 이의 실감을 돋우어 주어 강한 인상을 남게 한다. 특히, 국어는 다른 언어에 비하여 의성어가 매우 풍부하게 발달되어 있어 동화·동요·시가·소설 등에서뿐만 아니라 일상 언어 생활에서도 현실감과 생동감, 박동감에 넘치는 의성법의 표현을 쉽게 구사할 수 있다.

“이 골 물이 주룩주룩 저 골 물이 솰솰…… 저 건너 병풍석으로 으르렁 콸콸 흐르는 물결은 은옥(銀玉)같이 흩어지니……”(遊山歌)에서는 ‘물’의 흐름이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처―ㄹ 썩 철―ㄹ 썩 쏴아아/따린다 부순다 무너바린다/……·처―ㄹ 썩 처―ㄹ 썩 척 튜르릉 꽉”(崔南善, 해에게서 소년에게)에서는 신문화(新文化)의 쇄도와 그 위용을 상징하는 ‘바다’의 넘실대는 물결과 부딪치는 파도가 박동감 있게 묘사되어 있다.

이 수사법은 또 본래부터 쓰여 오던 의성어와는 상당히 다른 변용이 가하여지기도 하는데, 이때는 작가의 예리한 관찰력과 표현력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대학작문(大學作文)』(교양교재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출판부, 1984)
『문학개론(文學槪論)』(박철희, 형설출판사, 1983, 개정판)
『문장개설(文章槪說)』(조병춘, 형설출판사, 1980)
『문장개론(文章槪論)』(황희영·구인환·윤재천·김해성, 새문사, 1980)
『현대문장론(現代文章論)』(조병화·서동철, 민중서관, 1977)
집필자
한동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