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돈부(敦夫). 고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해 우왕 때 밀직사사가 되었으나, 간관의 탄핵으로 파직되어 이인임(李仁任)의 당으로 몰려 곡주(谷州)로 유배되었다.
조선이 건국되자 다시 등용되어 1393년(태조 2) 개성부윤이 되었으며, 조정의 특명으로 경상도의 군사를 점검하였다. 그 뒤 중추원사(中樞院使)가 되어 강서(江西: 禮成江)·강화 등지의 병선을 점검해 요소에 배치하는 등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1396년 조정에서는 우정승 김사형(金士衡)을 5도병마도통처치사로 삼고 이무를 도체찰사로 삼아, 5도의 병선을 거느리고 왜구의 소굴인 일본의 이키섬[壹岐島]과 대마도를 정벌하게 하였다. 1398년 참찬문하부사·판예조사·의흥삼군부좌군절제사(義興三軍府左軍節制使)가 되었다.
그 해 연말에 세자 이방석(李芳碩)을 보필하던 정도전(鄭道傳)·남은(南誾) 등이 남은의 첩의 집인 송현(松峴: 松峴洞)에 모여 반란을 모의한다는 정보를 이방원(李芳遠: 태조의 다섯째 왕자)에게 밀고해 그들을 급습, 평정한 공로로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에 책훈되었다.
1400년(정종 2) 동북면 도순문찰리사 겸 의흥부윤(東北面都巡問察理使兼義興府尹)이 되었다. 그 해 7월 남은·정도전과 친교가 두터운 불충지당으로 지목되어 강릉으로 유배되었으며, 곧 근기(近畿)에 안치되었다가 9월에 풀려났다.
그 해 판삼군부사(判三軍府事)가 되어, 이방원을 도와 이방간(李芳幹)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에 책훈되었다. 1402년(태종 2) 우정승이 되었으며, 단산부원군(丹山府院君)에 봉해지고, 이듬 해 영승추부사(領承樞府事)가 되었다.
1409년 태종의 처남들인 민무구(閔無咎)·민무질(閔無疾)의 옥사에 관련되어 창원으로 유배되었다가 안성군 죽산(竹山)에 옮겨져 그곳에서 사형되었으며, 뒤에 신원되었다. 문관으로 입신했으나, 문무를 겸비해 왜구 격퇴와 대마도 정벌 등을 비롯해 많은 업적을 남겼다.
1406년 김사형·이회(李薈) 등과 더불어 원나라 이택민(李澤民)이 만든 「광피도(廣被圖)」와 승려 청준(淸濬)의 「혼일강리도(混一疆理圖)」를 정리, 합편하고, 요하의 동쪽에 있는 조선과 일본을 넣어 『역대제왕혼일강리도(歷代帝王混一疆理圖)』를 만들었다. 시호는 익평(翼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