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응해 ()

목차
관련 정보
이응해장군 묘 출토복식 창의
이응해장군 묘 출토복식 창의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주사대장, 동지중추부사, 경상우병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624년(인조 2)
주요 관직
전라좌수사|제주목사|동지중추부사
관련 사건
인조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주사대장, 동지중추부사, 경상우병사 등을 역임한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1592년(선조 25) 전판관이었다 해임되어 있던 중 왜군이 평양성을 향하여 공격하자, 백의(白衣)로 일진(一陣)을 지휘하였다. 성이 함락되어 군사들이 물러갈 때 홀로 남아서 뒤를 막아 군졸들의 피해를 막았는데 그 공으로 다시 평양부판관이 되었다.

그 뒤 평안도별장을 거쳐 1601년 온성부사로 우위장(右衛將)이 되어 여진족 소굴을 소탕하였다. 전라좌수사·제주목사, 행호군(行護軍) 등을 거쳐, 1613년(광해군 5) 전라병사가 되었는데 파총(把摠) 최홍윤(崔弘潤)을 장살(杖殺)한 죄로 파직당하였다.

1619년 주사청(舟師廳)이 설치되자 주사대장이 되고 이듬해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1622년(광해군 14) 경상우병사로 재직 중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숨어 있다가 경상우도선유어사(慶尙右道宣諭御史) 이유달(李惟達)에 체포되었다. 1624년(인조 2) 권력자의 비호 아래 백성을 침탈하여 많은 재물을 축재하였다 하여 군문(軍門)에 효시(梟示)되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