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저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장령, 정언, 옥천군수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현(仲玄)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9년(숙종 15)
사망 연도
1737년(영조 13)
본관
성주(星州)
주요 관직
장령|정언|옥천군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장령, 정언, 옥천군수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중현(仲玄). 이흡(李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영선(李榮先)이다. 아버지는 이규창(李奎昌)이며, 어머니는 박자정(朴自挺)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진사를 거쳐 1719년(숙종 45)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1727년(영조 3) 장령으로서 전 감사 유복명(柳復明)과 위원군수(渭原郡守) 김창혁(金昌赫)을 탐관, 장물의 혐으로 치죄할 것을 극력 주장하였다.

1728년에는 왕을 위한 학문에 힘쓰고, 성군의 마음을 독실하게 하며, 교묘하게 남의 비위를 맞추는 말을 배척할 것 등 치국에 관한 모두 8개조의 소를 올려 영조로부터 가납되었다.

1730년 역시 장령으로서 여러차례 패초(牌招: 牌를 내려 왕이 신하를 부른던 일)를 어긴 동지의금부사 유숭(柳崇)과 홍현보(洪鉉輔)를 삭탈관직하여 문외출송(門外黜送: 죄인의 관직을 빼앗고 4대문 밖으로 추방함) 할 것을 청하여 허락을 받았다.

같은 해에는 정언이 되어 대왕대비의 치료에 소홀한 의관들을 다스릴 것을 청하였다. 이어 형작(刑爵: 죄인을 처벌하는 것과 벼슬을 주는 것)과 은위(恩威: 임금의 은혜와 위엄)를 시정할 것을 청하는 내용의 소를 올렸다.

사간이 되어 연대(連對: 관직 순서에 따라 차례로 임금을 대좌함)의 규례를 어긴 도승지 박문수(朴文秀)의 징계를 청하였다.

1732년 옥천군수로 나가서는 은결(隱結)을 사사로이 쓰고, 백징징세(白徵懲稅)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았으나, 이듬해 집의에 서용되고 사간이 되었다. 1734년 추국에 있어 엄중한 형신(刑訊: 죄인을 때리면서 캐어물음)을 가할 것을 주장했고, 같은 해에는 망국의 조짐과 그 대책을 상소, 가납되었다.

또 이 해 집의로서 관장이 낭관을 검칙하지 못하는 폐단과 서북 별부료(別付料: 별부료군관의 약칭으로 총융청·용호영의 무관)에 낙방한 무리들의 소란을 다스릴 것을 청하였다. 1735년에는 사령의 과다함을 개선할 것을 주장하였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경종실록(景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