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 ()

목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형조판서, 판중추부사,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연(子淵)
농옹(聾翁)
시호
충정(忠靖), 충민(忠敏)
이칭
함릉군(咸陵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670년(현종 11)
본관
함평(咸平)
주요 관직
개성부유수|형조판서|판중추부사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형조판서, 판중추부사,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내용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자연(子淵), 호는 농옹(聾翁). 아버지는 대사간 효원(效元)이다.

광해군 때 대북파의 정인홍(鄭仁弘)·이이첨(李爾瞻) 등에 의하여 아버지가 절도(絶島)에 유배되고 형인 한림 정(瀞)이 울분을 참지 못하여 죽자, 그는 벼슬을 단념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 2등에 책록되고 함릉군(咸陵君)에 봉하여졌다. 반정하던 날 심기원(沈器遠)이 궁중에 쌓여 있는 물건을 나누어 가지자고 하였으나 분연히 거절하였다. 공신에게 지급되는 전답을 모두 반환하여 청백한 사람으로 칭송이 높았다.

이듬해인 1624년 개성부유수가 되고, 그뒤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1649년(인조 27) 인조가 죽자 장릉(長陵 : 인조릉)의 수릉관(守陵官)이 되고, 이어서 형조판서를 지내다가 1652년(효종 3)에 병으로 사임하였다. 그 해 한직인 판중추부사로 있다가 동지 겸 성절사(冬至兼聖節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인 1653년에 함릉부원군(咸陵府院君)에 진봉(進封)되고 공조판서가 되었다가 1669년(현종 10)에 치사하고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처음에 충정(忠靖)으로 시호를 받았다가 숙종 때 충민(忠敏)으로 개시되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조야집요(朝野輯要)』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