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 덕천리 가침박달 군락 ( 가침박달 )

목차
식물
생물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에 있는 가침박달나무의 군락지.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 군락(任實 德川里 가침박달 群落)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분포학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1997년 12월 30일 지정)
소재지
전북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산37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에 있는 가침박달나무의 군락지.
내용

1997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이곳 가침박달나무군락의 크기는 길이 500m, 폭 3∼4m에 이르고 가침박달나무의 개체수는 154그루이다.

상층부인 교목층은 졸참나무를 우점종으로 하고 상수리나무 · 개서어나무 등이 자라고 군락의 가장자리에는 아카시아와 은수원사시나무가 나 있다.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가침박달나무를 우점종으로 하여 졸참나무 · 갈참나무 · 상수리나무 · 떡갈나무 · 국수나무 · 물푸레나무 · 쥐똥나무 등과 만경식물인 청미래덩굴 · 청가시덩굴 · 칡들이 자라고 있다.

가침박달나무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산기슭 및 산골짜기에서 자라고 높이 1∼5m로 작은 가지는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흰색 피목이 드물게 산재한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다.

잎길이는 5∼9cm, 잎자루의 길이는 1∼2cm이다. 꽃은 4∼5월에 피고 햇가지 끝에 달리는데 3∼6개씩 달리며 꽃지름은 4cm쯤 된다. 꽃잎은 5개로 흰색이고 끝이 오목하다. 꽃받침은 5개로 달걀모양인데 꽃이 핀 뒤 떨어진다.

수술은 25개이고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는 각과이고 9월에 성숙하고 5갈래로 터져 갈라진다. 종자에는 날개가 있다. 가침박달나무는 주로 중부이북에 분포하는데 남부지방인 임실군 관촌의 사선대(四仙臺)에 자생하고 있는 지점은 분포의 남한계선으로서 식물분포지리학상 귀중한 자료가 되며 학술적 가치도 매우 높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