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강전투 ()

목차
조선시대사
사건
임진왜란 때인 1592년 5월에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등이 임진강에서 왜군과 싸운 전투.
목차
정의
임진왜란 때인 1592년 5월에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등이 임진강에서 왜군과 싸운 전투.
내용

북침을 막으려다 패한 싸움이다. 1592년(선조 25) 한강 수비를 맡은 도원수 김명원은 임진강으로 퇴거하여 장계(狀啓)를 올려 적의 상황을 보고하였다.

이에 선조는 김명원의 한강 방어 실패의 책임을 묻지 않고 다시 경기·해서 군사를 징발해 임진강을 지킬 것을 명하였다. 그리고 남병사 신할(申硈)이 체직(遞職)되어 돌아온 것을 수어사로 삼아 함께 임진강을 수비하도록 하였다.

당시 임진강 방어에는 명령 계통이 셋으로 나뉘어 있었다. 첫째는 도원수 김명원과 그 휘하에 부원수 이빈(李薲), 독진관 홍봉상(洪鳳祥), 경기감사 권징(權徵), 조방장 유극량(劉克良), 검찰사 박충간(朴忠侃), 좌위장 이천(李薦), 방어사 신할 등이다.

둘째는 제도도순찰사 한응인(韓應寅)과 부사 이성임(李聖任)이었다. 셋째는 임진강 상류 대탄(大灘 : 지금의 경기도 연천 부근)에 전 유도대장(留都大將) 이양원(李陽元)과 순변사 이일(李鎰), 전 부원수 신각(申恪) 등의 군사가 포진하고 있었다. 병력 수는 도원수 휘하에 7,000명, 제도도순찰사 휘하에 서계토병(西界土兵) 1,000명, 전 유도대장 휘하에 5,000명으로 모두 1만 3000명이었다.

서울에 머무르고 있던 일본군은 새로운 작전계획을 짰고, 우키타(宇喜多秀家)는 그대로 서울에 머무르면서 전군을 총지휘하고, 1번대(番隊)의 주장 고니시(小西行長)는 평양으로 가기로 하였다. 3번대의 주장 구로다(黑田長政)는 황해도로 가서 1번대를 후원하고, 2번대의 주장 가토(加藤淸正)는 함경도 방면으로 가기로 하였다. 그리고 4번대의 주장 모리(毛利吉成)는 강원도로 가서 2번대를 후원하기로 하였다.

가토군이 1592년 5월 10일 가장 먼저 서울을 떠나 임진강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물살이 급해 건너지 못하고 며칠을 기다렸다. 이 때 고니시가 권항사(勸降使) 야나가와(柳川調信)를 조선군 진영에 보내자, 가토는 강변에 소수의 군사만 남겨 두고 파주 쪽으로 철수하였다.

조선진영에서는 일본군의 전세가 불리하다는 헛된 보고가 계속 날아드는 데다 적이 여러 날 싸우지 않는 것을 보고, 그것을 사실로 믿었다. 행조(行朝)에서도 도원수에게 엄중히 질책하며 속히 싸울 것을 명하였다.

조방장 유극량은 강을 건너 싸우자는 여러 장수의 주장에, 적의 유인작전에 말려드는 것이라며 극구 반대하였다. 그러나, 군령을 따르지 않을 수 없어 패배를 예견하면서도 신할을 따라 강을 건넜다. 도원수도 도하작전을 반대했지만 명령 계통이 어수선하여 이를 막지 못하였다.

17일 가토군의 기습을 받아 신할·유극량 등의 장수가 전사했으며, 많은 관군이 돌아오지 못하고 강물에 빠져 죽었다. 이렇게, 큰 기대를 걸었던 임진강 방어전은 제대로 싸워 보지도 못하고 실패로 끝났다. 일본군은 27일 임진강을 건넜다. 도원수 김명원과 도순찰사 한응인 등은 패한 다음 평양 행재소(行在所)로 돌아왔으나, 선조는 형편상 죄를 물을 수 없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징비록(懲毖錄)』
『백사집(白沙集)』
『난중잡록(亂中雜錄)』(조경남)
『임진전란사』(이형석, 임진전란사간행위원회, 1967)
집필자
이장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