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재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 의병장, 노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 의병장, 노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책. 목판본. 1892년(고종 29) 후손 응희(應禧) 등이 편집, 간행한 『광주노씨세고(光州盧氏世稿)』 권5에 수록되어 있다. 이 유고의 권두에는 유심춘(柳尋春)의 서문이 있다. 시 17수, 제문 2편, 서(書) 2편, 부록으로 행장·만장·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광주노씨세고』는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와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시는 문조(文藻)보다는 기력(氣力)을 중시한 것으로 보인다. 「직숙경복궁(直宿景福宮)」은 경복궁에서 숙직하면서 벼슬살이에 대한 심적 갈등을 나타낸 것으로, 마음에 일고 있는 사념(思念)을 가식 없이 있는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직집경전별이군헌(直集慶殿別李君獻)」은 친구 이침(李琛)과 헤어지면서 이별의 안타까운 마음을 나타낸 것이다.

「전주경기전(全州慶基殿)」은 벼슬살이로 떠돌아다니는 자기의 신세를 한탄하며 고향에서의 전원생활을 동경하는 내용이다. 「환향견고국유감(還鄕見孤菊有感)」은 고향의 옛집을 찾아가 홀로 반겨주는 국화를 완상하며 방황하였던 과거를 후회하는 내용이다.

「호손공봉도(胡孫供奉圖)」은 원숭이에 얽힌 고사를 인용하여 당시 조정에 간신들이 발호함을 풍자하고 국가의 장래를 염려하는 내용으로, 칠언체의 장편이다. 서의 「답노질주(答盧姪胄)」에는 임진왜란 때 가족들의 안부를 걱정하면서도 의병을 모집, 왜적을 맞아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겠다는 결심과 의주로 피난간 임금의 안위를 걱정하는 마음이 나타나 있다.

서에는 또한 스승 조식(曺植)의 편지 1편이 부록되어 있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