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모산성 ()

건축
유적
북한 평안남도 평성시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 평양성 북쪽 방위를 담당한 석축 성곽. 산성.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38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평안남도 평성시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 평양성 북쪽 방위를 담당한 석축 성곽. 산성.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38호.
개설

자모산성(慈母山城)은 옛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을 지키던 위성들 가운데에 하나로, 평안남도 평성시 자모산 일대에 위치한다. 둘레가 약 5㎞에 달하고, 높이는 4m이다. 성내에는 우물이 1개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성벽 윗부분에 활이나 총을 쏘도록 만든 여장(女墻 :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의 흔적이 남아 있다. 북한의 사적 제27호로 지정되었다가 국보 문화유물 제38호로 변경되었다.

내용

자모산성은 주봉(主峰)에서부터 북쪽 산봉우리까지는 내성(內城)을 쌓은 나성(羅城) 형태이다. 나성지역의 남문을 중심으로 그 동쪽 능선 500m 구간과 서쪽 능선 1,100m 구간에만 성벽을 쌓고 각각 치(雉)를 3개소씩 설치하였다. 나머지 구간에는 동쪽에 10개소, 서쪽에 2개소씩 보루를 두고 연결하였다. 비교적 유구가 잘 남은 보루는 세로 4m, 가로 5m의 직사각형이다.

성문은 7개이고, 여장 부분에는 약 1∼1.5m 간격으로 활이나 총을 대고 쏜 구멍인 사혈(射穴)이 규칙적으로 정연하게 나 있다. 성 둘레 주변마다 높은 곳 13개소에 장방형 또는 둥근 원형으로 된 망대를 설치하였던 자리가 지금도 남아 있다.

기록에 의하면, 전투시에 지휘처로 사용하던 만자루가 성벽에 연결되어 있었다고 하는데, 이 만자루 자리는 대체로 성벽보다 높고 두껍게 돌을 쌓고 성벽 밖으로 볼록 나와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성은 황해도와 경기도 일대를 횡행하며 탐관오리를 징계한 명종 때의 협도(俠盜) 임꺽정(林巨正)이 이 산성을 거점으로 활동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또한, 1636년(인조 14)의 병자호란 때에는 인근 읍민 수만 명이 이곳으로 피난하여 목숨을 구했던 기록도 있다.

참고문헌

『대동지지(大東地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여지도서(輿地圖書)』
『북한의 문화유적 순례』(양태진, 백산출판사, 1995)
북한문화재자료관(north.nricp.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