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단 ()

목차
근대사
단체
1919년 3·1운동 후 북간도 연길현(延吉縣) 국자가(局子街)에서 활동하던 항일독립운동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19년 3·1운동 후 북간도 연길현(延吉縣) 국자가(局子街)에서 활동하던 항일독립운동단체.
내용

중국 도립중학교(道立中學校) 한국인 학생과 졸업생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단장 최경선(崔經洗)을 비롯한 단원 1,100여 명과 5연발 총 40여 정이 있었다. 단원인 도립중학교 학생대표 최웅렬(崔雄烈)·김필수(金弼守) 등은 독립운동에 관한 연설을 하여 학생들을 규합하려고 하였다.

1919년 3월 용정촌(龍井村)의 독립만세시위 때에도 이 단체의 단원들이 가담하였는데, 그 중에는 권총을 소지한 단원이 30여 명 있었다. 그러나 이 시위에서 시위를 제지하기 위하여 출동한 중국군의 발포로 14명이 사망하고, 30여 명이 부상당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3(국사편찬위원회, 1967)
『조선독립운동(朝鮮獨立運動)』 Ⅲ(김정명 편, 原書房, 196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