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귀풀이 (풀이)

목차
관련 정보
잡귀풀이굿
잡귀풀이굿
민간신앙
의례·행사
제주도의 무당굿 중 잡귀의 범접으로 앓게 된 병을 치료하는 굿의 중심굿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제주도의 무당굿 중 잡귀의 범접으로 앓게 된 병을 치료하는 굿의 중심굿거리.
내용

잡귀의 범접으로 앓게 된 병을 치료하는 굿을 통칭 ‘푸다시’라 하는데, 잡귀풀이는 이 푸다시의 중심 제차로 행해지며, 이밖에도 혼이 육체에서 떨어져 나가서 일어난 병을 치료하는 넋들임, 요괴인 사(邪)의 범접으로 일어난 병을 치료하는 새?림 등의 굿에서도 행하여진다.

잡귀란 사령(死靈)의 일종이다. 무속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은 육체에서 이탈하여 저승으로 향하는데, 대개 만 2년이 지나면 저승에 완전히 간다고 믿고 있다. 그래서 만 2년 미만의 사령을 혼백 또는 ?혼〔生魂〕이라 하고, 2년이 지나면 이를 영신 (靈神)이라 하여 구별한다. 이들은 정상적인 죽음을 한 사령으로서 선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이 세상에서 원한을 풀지 못하고 억울하게 죽었다든지, 전란 때에 비명에 죽었다든지 한 영혼은 저승에 가지 못하고 저승과 이승의 중간에서 헤매고 돌아다니다가, 그 원한을 풀려고 사람에게 범접하여 병이나 재해를 준다.

이러한 사령을 통칭 잡귀라 한다. 잡귀풀이가 중심 제차로 된 푸다시는 흔히 집에서 하지만 바닷가나 당에서 하기도 한다. 다른 굿과 마찬가지로 초감제부터 시작하여 벌풀이와 신풀이를 끝낸 다음, 본격적인 중심 제차인 잡귀풀이를 한다.

먼저 환자를 제상 앞에 앉혀 흰 무명을 머리에 덮게 하고, 심방이 신칼을 두 손에 쥐어 환자의 몸 전체를 찌르는 시늉을 하며 위협적인 어조와 가락으로 잡귀를 쫓아내는 노래를 한다. 한 구절 한 구절 노래해 가면 옆에서 북과 장구로 장단을 치는 소미가 복창을 하며 더욱 위협적인 가락과 분위기를 조성한다.

심방이 쫓아내는 잡귀에는 산신군졸(山神軍卒)·용왕군졸(龍王軍卒), 거리거리에 춥고 굶주린 잡귀, 신당군졸·본단군졸, 크고 작은 돌무더기마다 놀던 잡귀, 잔 소나무 밭 어귀마다 놀던 잡귀, 냇가·개울가마다 놀던 잡귀, 비명에 죽어간 군졸, 물에 빠져 죽은 군졸, 목매어 죽은 군졸, 남자로도 보이고 여자로도 보이는 군졸 등이 있다.

이처럼 나열할 수 있는 잡귀를 모조리 나열하며 물러가라고 위협한다. 이 나열해 가는 잡귀 가운데 하나라도 범접해 있는 잡귀가 적중하게 되어 있다. 심방은 이렇게 잡귀를 호명하여 쫓으며 “만일 아니 물러서면 축문쟁이 불러다가 옥추경(玉樞經)을 스물 한번 읽고, 오방신장을 불러 몸을 결박하여 지옥에 떨어뜨리겠다.”고 위협하고, 신칼로 찌르면서 협박한다.

그래서 최후에 “쑤어나라! 쑤어나라! 헛쉬! 헛쉬!”라고 외치면서 잡귀를 쫓아내고, 술을 환자 위에 뿜어버린다. 이와 같은 잡귀풀이를 세 번 되풀이하고, 모든 신을 돌려보내는 도진을 한 뒤, 끌레기(꾸러미)치송(治送 : 행장을 차려 떠나 보냄.)을 마지막으로 하여 끝마친다.

참고문헌

濟州島巫俗資料事典(玄容駿, 新丘文化社, 198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현용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