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양상 동정마애비 ( )

목차
관련 정보
남해 장량상동정마애비 전경
남해 장량상동정마애비 전경
서예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에 있는 조선후기 명나라 장수 이여송과 진린 관련 사적비. 시도유형문화재.
이칭
이칭
동정시비(東征詩碑)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1972년 02월 12일 지정)
소재지
경남 남해군 남해읍 선소리 169-9번지
목차
정의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에 있는 조선후기 명나라 장수 이여송과 진린 관련 사적비.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197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큰 화강암 바위를 깊이 5㎝, 가로 1.31m, 세로 2.53m의 장방형으로 평평하게 갈아내고 거기에 글씨를 새긴 형태의 비석이다.

이 비는 ‘동정시비(東征詩碑)’라고도 하는데, 이는 비문 중에 ‘東征詩’라는 글자가 제일 첫 줄에 나오기 때문이다. 이 비문의 둘레에는 당초문을 아름답고 정교하게 새겼다.

비문의 내용은 임진왜란 때 원군으로 와서 임진왜란의 강화회담을 주재했던 명나라 장수 이여송(李如松)과 진린(陳璘)의 행적을 기록한 것이다. 즉, 그들이 조선에 원군으로 남해에 와서 왜군을 무찔렀다는 내용과 함께 자신들의 우월성을 나타내는 전승기념비적 성격을 띠고 있다.

독공정왜유격장군 장양상(督工征倭遊擊將軍 張良相)의 이름으로 비를 새겼다. 그러나 이곳 근처 현재의 천남대(天南臺)라는 곳에 왜성(倭城)이 남아 있고, 선소리 앞 바다에서 명나라의 수군과 왜적이 격전을 벌였다는 기록이 없어 신빙성이 없는 비문이라 하겠으나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대체로 명나라의 유격장군인 장양상이 이 비문을 새긴 정확한 연대는 아마 왜장 고니시(小西行長)가 이순신장군에 의해 퇴로가 봉쇄되어 대패당한 노량해전의 직후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 이듬해인 1599년(선조 32) 이곳에 진주하여 비문을 새긴 것으로 추측된다.

의의와 평가

이 비는 우리나라에서 보기 어려운 마애비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특히 역사에서 밝혀지지 않은 명나라 장수의 마애비라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라 하겠다.

참고문헌

『경상남도문화재대관(慶尙南道文化財大觀)』(경상남도, 1995)
집필자
이호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