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담양(潭陽). 자는 시재(時哉), 호는 송애(松崖). 아버지는 총관 전윤(田潤)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평양 대동문장(大同門將)으로 있었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군기교위가 되어 관군을 증모하고 병기를 정비, 전투준비를 하던 중 임금이 도성을 떠나 파천(播遷)길에 올랐다는 소식을 듣고 도성으로 달려가서, 한강을 건너 수강장(守江將) 김명원(金命元)의 별장인 부장 이응기(李應棋)의 진으로 달려갔다.
그는 ‘송애(松崖)’라는 군기를 높이 세워 적을 공격하니 적이 그 깃발을 보고 모두 피하였다. 뒤에 알려진 바에 의하면, 왜병은 ‘송(松)’자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송애의 깃발을 피하였다는 말이 있다.
그 뒤 영남순검사가 되어 군정을 살폈고, 이순신(李舜臣)과 함께 완도의 뱃길을 여는 방략(方略)을 세우기도 하였다. 벼슬이 좌승지에 이르렀다. 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