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금갑리에 있는 섬.
이칭
이칭
접섬, 접배도, 금갑도(金甲島), 갑도(甲島)
지명/자연지명
면적
4.35㎢
둘레
12.30㎞
소재지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금갑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접도는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금갑리에 있는 섬이다. 접섬 또는 접배도라고도 하며 접도 연도교를 통해 진도와 연결되어 있다. 진돗개 시범 사육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국가어항으로 지정된 수품항이 있다. 약 90여 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금갑리에 있는 섬.
개설

접도는 동경 126°18′, 북위 34°22′에 위치하며, 금갑리 해안에서 남쪽으로 약 0.5㎞ 떨어진 지점에 있다. 섬의 면적은 4.35㎢이고, 해안선 길이는 12.30㎞이다. 1989년에 준공된 길이 240m의 접도 연도교를 통해 18번 국도와 연결된다. 진돗개의 혈통 보존을 위해 진돗개 시범 사육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명칭 유래

원래 금갑도(金甲島)나 갑도(甲島)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나 바다를 사이에 두고 의신면 남단의 금갑리와 마주 닿아 있어 접도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접섬, 접배도라고도 불린다.

자연환경

남망산(164m)을 비롯하여 해발 100m 이상의 산줄기가 동서와 남북으로 교차하며 이어져 있다. 주변 산록부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농경지와 취락이 주로 자리 잡고 있다. 해안은 북동쪽을 제외하고 대부분 암석 해안이다. 황모마을 · 여미마을 · 수품리(水品里) 해안 일대는 수심이 깊어 주1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진도군의 기후 자료(1991~2020년)에 따르면, 접도의 1월 평균 기온은 2.1℃, 8월 평균 기온은 26.3℃, 연 강우량은 1374.7㎜이다.

변천 및 현황

2021년 기준으로 접도의 인구는 91명(남 50명, 여 41명)이다. 주민들은 어업에 종사하거나 농어업을 겸업한다. 경지 면적은 논 0.18㎢, 밭 0.04㎢이다. 주요 농산물은 주2이며 그 밖에 보리류 · 쌀 · 콩류 · 무 등이 약간 생산된다. 멸치 · 새우 · 돔 · 오징어 등이 주로 잡히며 김 · 미역 · 굴 양식도 행해진다. 수품항은 접도의 동쪽에 위치한 항구로 1991년 1월 1일에 국가 어항으로 지정되었다. 수품항의 수면적은 항내 233,000㎡, 정은 132,000㎡, 수심 5m이다. 시설로는 방파제(530m)와, 소형 선박이 접안하여 계류할 수 있는 주3(270m)이 있다. 1920년경에는 이곳에 진도군 어업 협동조합이 있었다. 교육 기관으로는 의신초등학교 접도분교장이 있다.

접도는 아열대성 식물이 자생하여 식생이 다양하고 어족이 풍부해 피서지와 휴양지, 낚시터로 적합한 곳이다. 곳곳에 기암 절경과 상록 활엽수림, 낙엽수림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숲이 있고, 오염되지 않은 바다에 둘러싸여 있어 청정한 자연을 접할 수 있다. 임중암동춘란향(林中暗動春蘭香), 황모만(黃毛灣) · 수품만(水品灣) 일출경(日出景) 등 접도9경이 유명하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서지』 (내무부, 1996)
『전남의 섬』 (전라남도, 2002)
『주민등록 인구통계』 (전라남도, 2007)
『진도군지』 (진도군, 2007)
『제62회 진도통계연보』 (진도군, 2023)

인터넷 자료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
디지털진도문화대전(jindo.grandculture.net)
전남 진도 접도웰빙마을(jdwellbeing.invil.org)
진도군청(www.jindo.go.kr)
진도군 문화관광(tour.jindo.go.kr)
주석
주1

배가 드나들거나 머물기에 좋은 항구. 우리말샘

주2

여러 가지 일반적이고 흔한 종류. 우리말샘

주3

소형 선박이 접안하는 부두. 주로 어선이나 부선 따위가 접안해 하역한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