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비공 ()

목차
사회구조
개념
각종 자동차의 기관과 시설을 수선 · 손질 · 분해 · 점검하는 기술자.
목차
정의
각종 자동차의 기관과 시설을 수선 · 손질 · 분해 · 점검하는 기술자.
내용

정비공은 자동차정비공·항공기정비공·중기정비공으로 나뉜다.

(1) 자동차정비공

각종 공구와 시험기기 및 측정기를 사용하여 자동차가 정상상태로 가동될 수 있도록 수리하고 정비하는 일에 종사한다. 자동차정비공은 정비 영역에 따라 기관정비·새시정비·전기장치정비·판금작업·도장작업으로 구분하여 작업한다.

① 기관정비공:자동차의 기관 본체 및 부속장치를 점검하여 부품을 교환하거나 수리한다. 기관의 음을 듣거나 분해하여 마모·변형·휨 등을 검사한 뒤 고장 원인을 분석하여 수리한다. 손상이 심한 것은 신품과 교환하여 조립하고 정비 후에는 성능시험을 한다.

② 새시정비공(하체정비공):자동차의 기관·전기장치 및 차체를 제외한 동력전달장치·조향장치·현가장치·제동장치·휠·타이어 등을 수리, 정비하며 규정치로 조정한다. 또 휠 및 타이어를 탈착하여 평형검사를 하고 이상 부위를 조정한 뒤 새시의 주요 작동부에 윤활유를 주유한다.

③ 전기장치정비공:자동차의 전기장치 부분을 분해하여 각종 측정기를 사용하여 저항·전압·전류 등을 측정하고 자동차 전기 부분의 단선·단락·접지 및 저항 등을 시험한다. 또 비중계·전압계·공구세트를 사용하여 축전지의 비중을 측정하고 필요한 때에는 충전한다.

④ 판금작업원:판금용 공구·용접기·유압기계 및 연삭기 등을 사용하여 사고로 인해 변형되고 손상된 자동차의 차체를 원형으로 복구한다. 약간 찌그러진 곳은 앤빌을 대고 두들겨 반듯하게 펴고, 수공구나 용접이 불가능한 곳은 퍼티나 연납을 사용하여 수정하고 연마한다.

⑤ 도장원:색이 바래거나 사고로 벗겨진 표면을 다시 도장한다. 초보자는 공면 세척, 연마, 마스킹작업, 도장 후 광내기작업 등을 하며, 숙련공은 도료의 혼합 및 수리과정에서 손상된 차량 표면의 재도장 및 마감도장 등을 한다.

자동차정비공이 되려면 공업계고등학교나 직업훈련원의 자동차과·차량정비공과 또는 사설 자동차정비학원 등에서 필요한 훈련을 받아야 한다. 관련 자격증으로는 자동차정비산업기사와 자동차정비기능사가 있다.

자동차정비산업기사는 1974년에 신설된 자동차정비기사 2급, 자동차정비기능사 1급과 1995년 신설된 자동차 다기능기술자가 1999년 종목 통합된 것으로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한다.

자동차정비산업기사가 되려면 전문대학 및 대학의 기계공학, 자동차공학, 자동차기계공학, 기관공학, 자동차기계, 동력기계 등의 학과에서 이론과 기술을 습득해야 한다.

자동차정비기능사는 1974년 자동차정비기능사 2급으로 신설되어 1991년에는 자동차기관정비, 자동차새시정비, 자동차전기정비기능사 2급으로 분리 신설하여 택일하도록 하다가, 1995년 자동차정비기능사 2급으로 다시 통합, 1999년 자동차정비기능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한다.

자동차정비기능사가 되려면 실업계 고등학교의 자동차 관련학과나 공공직업훈련원, 사업체내 직업훈련원, 인정직업훈련원, 사설학원에서 기술을 습득해야 한다. 자동차정비원의 전체 고용은 1995년 4만 5813명, 1996년 4만 5117명, 1997년 4만 3124명, 1998년 3만 6168명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이 중 자격증 미소지자의 감소 비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자동차정비공은 전문 자동차정비 및 수리업체, 자동차회사의 정비부, 운수회사의 정비부 등에 취업할 수 있다. 관련단체로는 한국자동차정비사업진흥회·서울자동차정비공업협동조합이 있다.

(2) 항공기정비공

항공기의 기관·기체·항공전자·보기·객실 등을 점검하여 고장 및 결함 부분을 수리한다. 크게 운항정비와 공장정비로 나뉜다. 운항정비사는 항공기가 안전비행에 결함이 없는가를 확인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항공기의 원동기, 프로펠러, 기어박스를 비롯한 고장 및 불량부품을 교환한다.

공장정비사는 공장 내로 항공기를 이동시켜 분해·검사·수리·기능시험 등 전반적인 정비활동을 하는데, 공장정비는 원동기정비·기체정비·부품정비·객실정비로 나누어진다. 항공기정비공이 되기 위해서는 사설 항공정비학원의 항공정비과정을 이수하거나 대학에서 기능을 습득해야 한다.

또 항공사 내에서는 자체 내에 항공정비기술훈련을 전담하는 부서를 두고 여기서 직무교육을 시킨다. 면허로는 항공정비사 기본 면허(공장 외부에서 항공정비 경력 3년 이상인 자), 항공정비사 공장면허(공장 내부에서 항공정비 경력 3년 이상인 자), 기종 한정면허(전기·계기·정기 일반·엔진·보기·판금)가 있다.

자격증으로는 1974년 항공기사 2급과 1984년 항공정비기능사 1급으로 신설되어 1999년 3월 명칭이 통합된 항공산업기사가 있으며,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험을 시행한다. 1994년부터 1998년까지 2,637명이 항공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항공기정비공은 항공운수업체에 취업하게 된다.

(3) 중기정비공

각종 건설 및 토목용 중기를 분해·검사·정비 및 조립하는 사람이다. 중기정비원은 굴착기·불도저·스크레이더·트랙터 셔블 등 중기의 기능 장애를 분석하고 각 장치의 마모상태와 고장을 점검한다. 중기정비는 고장 부분에 따라 엔진정비·하체정비(새시정비)·전기장치정비·유압장치정비·판금작업·도장작업으로 나뉜다.

정비공은 정비대상의 각종 장치와 부품명이 대부분 외국어로 되어 있으므로 기초 영어 정도는 해독할 수 있어야 한다. 중기정비 직종에 해당하는 자격증으로는 건설기계기관정비기능사가 있다.

건설기계기관정비기능사는 1991년 중기기관정비기능사 2급으로 신설되어 1995년 건설기계기관정비기능사 2급으로, 다시 1999년 건설기계기관정비기능사로 명칭이 변경된 것이다. 시행처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며, 1994년부터 1998년까지 2,334명이 이 자격증을 취득했다.

중기정비공은 중장비 전문수리업체 또는 중장비생산업체의 시험실 및 수리 부서 등에 근무하며, 5년 이상의 현장 경력을 쌓으면 해외취업도 가능하다. 관련단체로는 대한중기협회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표준직업분류』(경제기획원, 1974)
『직업의 세계』(노동부, 1986)
『중기엔진정비』(유정인, 성안당, 1986)
『한국직업사전』(노동부 중앙고용정보관리소, 1999)
집필자
곽해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