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상감 ‘정통5년’명 어문 반형 묘지 ( )

목차
관련 정보
분청사기 상감‘정통5년’명 어문 반형 묘지
분청사기 상감‘정통5년’명 어문 반형 묘지
공예
유물
국가유산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묘지(墓誌).
이칭
이칭
정통오년명 분청사기 상감어문 반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분청사기 상감‘정통5년’명 어문 반형 묘지(粉靑沙器 象嵌‘正統五年’銘 魚文 盤形 墓誌)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분청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74년 07월 09일 지정)
소재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묘지(墓誌).
내용

197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9.4㎝, 입지름 35.8㎝, 밑지름 13㎝.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유색(釉色)이 청록색에 가까운 분청사기이다. 구연부(口緣部)에 쓰인 명문을 보면 “正統五年庚申十一月一日母女作(정통오년경신십일월일일모녀작)”으로 시작되고 있어서 이 반(盤)의 제작연대가 1440년(세종 22)임을 알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역사적 자료이다. 턱이 비교적 넓은 반으로 명문 내용을 통해 보면 묘지(墓誌)임을 알 수 있다.

턱의 끝부분은 위쪽을 향하여 살짝 올라갔으며 가장자리에는 두 줄의 선을 둘렀다. 반의 가운데 부분은 우묵하고 넓적한데, 그 중앙에 면상감기법(面象嵌技法)으로 백색의 화문(花文)을 그려넣었다. 그 둘레에 두 줄의 원을 만들고 그 원에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세 갈래의 가지가 뻗어나가면서 바닥의 넓적한 부분을 자연스럽게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그 사이사이에 물고기 세 마리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었다. 물고기의 윤곽과 비늘 등은 백토(白土)를 감입하여 흰색으로 나타냈고, 눈 부분만 철화안료를 써서 검게 나타냈다.

물고기무늬의 바깥쪽에서부터 구연부의 흑상감(黑象嵌) 명문대(銘文帶)에 이르기까지, 그 사이에는 흰 글씨로 문장을 새겨넣었으나 그 내용을 알아보기는 어렵다.

의의와 평가

반을 묘지로 이용한 경우는 조선 후기에 많이 보이지만, 이 묘지와 같은 초기의 예는 드물다. 이 반의 문양과 유사한 것으로는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의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 출토 편병조각을 들 수 있어서, 우동리에서 출토된 분청사기 도편들의 제작시기 추정을 뒷받침해준다.

참고문헌

『한국도자사』(강경숙, 일지사, 1989)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특별전도록』3 분청사기(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